서북유럽 수소 파이프라인/IEA 제공
서북유럽 수소 파이프라인/IEA 제공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 독일 정부가 자국 수소 핵심 파이프라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적용할 요금을 공식 확정했다.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인프라 투자 회수 계획의 일환으로, 이번 조치는 민간 사업자와 초기 이용자 모두에게 예측 가능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방네트워크청(BNetzA)은 오는 2032년까지 총 9000km 이상 구축 예정인 수소 파이프라인 핵심망에 대해 kWh당 25유로의 통일 요금을 책정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요금은 민간 운영자들이 향후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준으로 책정되면서도, 초기 사용자들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에도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독일 정부는 핵심망 구축에 총 189억유로가 투입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장기적 투자비 회수를 위해 ‘감가상각계정'으로 240억유로 규모의 재정 계정을 별도 설치했다. 이 계정은 운영사들이 수익이 발생하는 만큼 점진적으로 상환해 나가는 방식으로 운용되며, 2055년까지 상환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만약 해당 시점까지 미상환 잔액이 발생할 경우, 운영사 측이 24%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독일 정부가 책임지는 구조다. BNetzA는 이 요금 체계를 2055년까지 유지할 방침이지만, 3년 주기로 재검토를 진행해 필요한 경우 조정 여부를 판단한다는 입장이다.

클라우스 뮐러 BNetzA 청장은 “이번 요금 책정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장기적인 계획의 확실성을 제공하고, 누구나 합리적인 가격으로 수소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핵심망의 일부 구간은 이미 올해 준공돼 수소 공급을 시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노베가(Nowega)의 GET H2 프로젝트 구간(55km)과 온타스(Ontas)의 바트라우슈테트 에너지파크~토탈에너지의 로이너 정제소 연결 구간(25km) 등이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