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력거래소가 총 563MW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을 최종 확정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 7월 23일 중앙계약시장 우선협상자 선정 결과 통보에 이어 7월 31일 중앙계약시장위원회를 통해 8개 ESS 구축 사업자가 낙찰자로 최종 선정됐다.
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ESS 중앙계약시장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변동성 대응 및 출력제어 완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지난 2023년 제주 지역 3곳(68MW)에 시범 도입됐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29년까지 총 2.22GW의 ESS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단위로 제1차 중앙계약시장을 개설하여 540MW 규모의 ESS 사업자 선정을 추진해 왔다.
이번 입찰에서는 육지 500MW, 제주 40MW 용량을 대상으로 총 51건의 제안서가 접수됐으며 평가를 통해 전남 7곳(523MW)과 제주 1곳(40MW) 등 총 8곳에 563MW 규모의 ESS 구축이 확정됐다 . 이번 확정은 국내 재생에너지 계통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은 이번 ESS 설치를 통해 "재생에너지가 집중된 호남지역 변전소 인근에 ESS가 설치되어 주변 지역의 계통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또한 "송전망 건설을 통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전까지 ESS를 통해 태양광 출력제어를 완화하여 재생에너지 생산과 소비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정된 사업자들은 내년 1월까지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하고, 같은 해 12월 말까지 ESS 설비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산업부와 전력거래소는 올해 10월 제2차 중앙계약시장을 추가 개설하여 ESS 보급 목표를 신속하게 달성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