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제주에너지공사 제공
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제주에너지공사 제공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0일 오전 8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의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며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지리적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이다. 특히 탄소중립 실현과 AI 시대의 주력 전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조선, 철강 등 연관 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미래 핵심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정적 기반 마련 위한 노력…가속화 발판 다진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해상풍력 발전량은 약 0.35GW 수준이다. 그러나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도 도입 이후 총 4.1GW에 달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지난 3월에는 '해상풍력특별법'을 공포하는 등 국내 해상풍력 보급을 위한 기반을 착실히 조성해 왔다.

이날 킥오프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나아가 국내 해상풍력 보급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당면한 복잡한 인허가 절차, 인프라 부족 문제, 그리고 금융 조달의 어려움 등 주요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데 뜻을 모았다.

"지금이 마지막 골든 타임"…관계 부처 원팀 강조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회의를 주재하며 "모든 전문가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이미 낙찰된 4.1GW 사업의 성공적인 정착이 앞으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전체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계 부처 모두가 '원팀'이 되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 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는 산업부 2차관을 중심으로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 국방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전남, 울산 등 주요 지자체,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공단 등 공공기관이 참여했다.

이 TF는 2026년 3월 해상풍력특별법 시행 전까지 운영되며, 해상풍력 프로젝트별 인허가 및 제약사항 해소, 인프라 지원, 금융 강화 등을 통해 해상풍력 보급을 가속화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TF팀 /출처 산업부
TF팀 /출처 산업부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