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 델라웨어강유역위원회(Delaware River Basin Commission, DRBC)가 뉴저지주 깁스타운(Gibbstown) LNG 수출 터미널 개발 허가를 만장일치로 연장 승인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은 위생·안전·환경적 위험을 이유로 강하게 반대해온 지역 주민 및 환경 단체의 비판을 불러왔다.
반대 측은 해당 프로젝트가 독성 물질 위험, 공공 안전, 셰일가스 채굴 확대와 같은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LNG 수출 인프라 확대가 곧 온실가스 배출 구조의 장기 고착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경고했다.
이번 논란은 과거 트럼프 행정부가 밀어붙였던 화석연료 인프라 우선 정책과 맥을 같이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뉴저지 주민들은 당시부터 깁스타운 프로젝트에 대해 꾸준히 반대해왔으며, 이번 승인 역시 주민 목소리를 외면한 강행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최근 재추진된 노스이스트 서플라이 인핸스먼트(Northeast Supply Enhancement)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또한 지역 사회 반대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어, 화석연료 업계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LNG와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의 안전·환경 리스크와 에너지 안보·산업 논리가 충돌하는 대표적 사례”라고 분석했다.
키워드
#미국 델라웨어강유역위원회(Delaware River Basin Commission
#DRBC)가 뉴저지주 깁스타운(Gibbstown) LNG 수출 터미널 개발 허가를 만장일치로 연장 승인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은 위생·안전·환경적 위험을 이유로 강하게 반대해온 지역 주민 및 환경 단체의 비판을 불러왔다. 반대 측은 해당 프로젝트가 독성 물질 위험
#공공 안전
#셰일가스 채굴 확대와 같은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LNG 수출 인프라 확대가 곧 온실가스 배출 구조의 장기 고착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경고했다. 이번 논란은 과거 트럼프 행정부가 밀어붙였던 화석연료 인프라 우선 정책과 맥을 같이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뉴저지 주민들은 당시부터 깁스타운 프로젝트에 대해 꾸준히 반대해왔으며
#이번 승인 역시 주민 목소리를 외면한 강행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최근 재추진된 노스이스트 서플라이 인핸스먼트(Northeast Supply Enhancement)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또한 지역 사회 반대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어
#화석연료 업계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LNG와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의 안전·환경 리스크와 에너지 안보·산업 논리가 충돌하는 대표적 사례”라고 분석했다.
#DRBC)
#뉴저지주 깁스타운(Gibbstown) LNG 수출 터미널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