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풍력·태양광 발전을 ‘좌초 자산’으로 규정하며 대규모 발전 프로젝트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반면, 정책 초점이 석유·가스로 이동할 경우 셰일가스와 LNG 수출 확대에는 긍정적 기류가 형성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재생에너지 좌초, 해상풍력·SOV 시장 타격 우려
동부 연안을 중심으로 추진되던 해상풍력 단지와 관련 기자재(WTG, SOV 등)의 발주 수요가 빠르게 위축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업계에서는 신규 프로젝트 지연 및 투자의 불확실성 확대를 경계하고 있다.
특히 금융기관과 선주사들은 ‘정책 불확실성’을 이유로 메탄올·암모니아 등 차세대 친환경연료 프로젝트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분위기다.
■ LNG·전통 에너지 반사이익…발주 확대 기대
정책 기조가 화석연료 중심으로 선회할 경우, 미국발 LNG 수출 증가는 필연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초대형 LNG선, FSRU, FLNG 발주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또한 탱크·컨테이너 운송 시장에서도 물동량 증가에 따른 발주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이는 전통 에너지 기반의 해운 물류산업에 간접적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 투자 심리 위축 vs. 선택적 기회
정책 전환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은 불가피하나, 업계 일각에서는 ‘분화된 슈퍼사이클’ 가능성도 거론된다. 재생에너지 침체 속에서 LNG·전통 에너지가 단기적 반사이익을 누리는 구조적 전환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정책 불확실성이 크지만 에너지 전환의 흐름이 완전히 멈추지는 않을 것”이라며 “부문별 슈퍼사이클이 맞물리는 다층적 시장 국면이 열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