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이 유럽연합(EU)의 청정에너지 법안과 메탄 규제안을 정면 비판하고 나섰다. 기후위기 대응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과도한 규제 중심 접근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으며 오히려 유럽 경제와 산업에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논리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더그 버검 미국 내무부 장관 등은 최근 “유럽이 넷제로(Net-Zero) 전략을 강하게 추진하더라도 미국산 셰일 석유·가스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수출될 것”이라며, 기후 정책 강화가 에너지 무역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은 EU와 지난 3년간 750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거래에 합의했으며, 이는 러시아산 석유·가스 대체는 물론 원자력 협력까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미국은 자국산 에너지를 안정적 대체재로 자리매김시키는 동시에, 유럽의 에너지 안보 구도를 사실상 주도하고 있다.
쟁점은 EU의 메탄 규제안이다. 미국은 만약 현행안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자국에도 불리하겠지만, 유럽에 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은 지난 10여 년간 기술 혁신으로 메탄 배출을 80% 감축했다며, 법적 강제보다 혁신과 인센티브 중심의 자발적 감축 모델을 제시했다.
미국은 기후변화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2050년 넷제로 목표보다 더 시급한 것은 당장의 에너지 비용 절감, 빈곤 감소, 그리고 산업 유지”라고 못박았다. 이는 에너지 전환의 속도와 방식에서 미국과 유럽 간 전략적 시각차가 여전히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