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전국 320개 교육시설이 초고압 송전선로 인근에 위치해 학생들이 전자파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학교는 송전선로와의 이격거리가 전혀 없어 시급한 대책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2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오세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전력공사(한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54kV 이상 초고압 송전선로 반경 200m 이내에 초·중·고교와 유치원이 총 320개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중 49개교가 송전선로에서 불과 50m 이내에 있고, 6개교는 이격거리가 '0m'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68개교, 경남 38개교, 서울 35개교 순으로 수도권과 영남권에 집중 분포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02년부터 고압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자파를 '발암 가능성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국제암연구소(IARC) 역시 같은 해 극저주파 자기장을 '인체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했다.

이탈리아와 스위스 등 일부 국가는 학교·도서관·병원 등 민감시설 주변 송전선로에 대해 더욱 강화된 자기장 관리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전은 "극저주파 자계와 소아백혈병 간 인과관계는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오 의원실의 '초고압 송전선로 이설 관련 사업 및 추진계획' 질의에 대해서도 "해당 사항 없음"이라고 답변해 학생 건강권 보호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세희 의원은 "국가 기간시설인 전력망을 관리하는 한전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외면하는 행태는 매우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격거리가 50m 미만이거나 전혀 없는 교육시설에 대해서는 정밀 측정을 거쳐 최우선적으로 이설 또는 지중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의원은 "미래세대인 우리 아이들이 안심하고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권리를 지켜주는 것은 국가의 책무"라고 덧붙였다.

자료 : 한전  /  제작 : 박명종 기자
자료 : 한전 / 제작 : 박명종 기자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