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복구중인 송전선 (기사와 관련없음) / 한국전력 제공
사진 : 복구중인 송전선 (기사와 관련없음) / 한국전력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추석 연휴 기간을 활용해 전력망을 선점만 하고 발전은 하지 않는 이른바 '허수사업자'로부터 회수한 전력계통 용량을 실제 사업자에게 재배분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당국은 1일 허수사업자로부터 회수한 4.1GW(기가와트) 규모의 전력계통 용량을 추석 연휴를 포함한 3주간 접속 대기 중인 사업자에게 우선 배분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력망을 선점한 채 실제 발전은 하지 않아 다른 사업자들의 진입을 막는 '전력망 알박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배분 작업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우선 3주간 접속 대기 사업자에게 물량을 나눠준 뒤, 10월 4주 차부터는 발전 허가를 받았으나 아직 망 이용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사업자와 신규 발전 사업 희망자에게 용량을 제공한다. 이후 남은 물량은 배전단 접속 대기 사용자가 희망할 경우 배분할 계획이다.

이번에 회수된 전력계통 용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집중된 호남권이 약 2GW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남권 980MW(메가와트), 강원권 679MW, 수도권 324MW, 충청권 78MW 순으로 나타났다.

송전망 포화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추진되면서 허수사업자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들은 계약을 통해 전력망을 선점하지만 실제 발전은 하지 않아 전력 인프라 활용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허수사업자 물량 회수는 수년이 걸리는 전력망 보강 작업보다 훨씬 빠르게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정부는 지난 7월에도 호남권 재생에너지 설비 계통 접속을 재개하면서 허수사업자 회수 물량을 활용한 바 있다. 당시 호남권 163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344MW 규모의 물량을 배분받았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앞으로 매년 허수사업자에 대한 정기 점검을 실시하고, 확보된 여유 물량을 반기마다 정기적으로 배분하는 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력망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사업자의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