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월 1일 출범하며, 기후·에너지·환경 정책을 총괄하는 매머드급 부처로 공식 탄생한다.

30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신설 부처는 환경부 산하 조직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관련 부서 및 산하 기관을 통합해 구성되며, 조직 규모는 2차관, 4실, 4국, 14관, 63과 체제로 편성돤다.

산업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동하는 공무원은 약 220여 명에 달하며,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21개 공공기관도 함께 기후부로 소속이 변경된다.

1차관 산하에는 기획조정실, 물관리정책실, 자연보전국, 대기환경국, 자원순환국, 환경보건국이 자리 잡아 하천 자연성 회복, 미세먼지 저감, 순환경제 구축, 화학물질 안전 등 핵심 환경 정책을 추진한다. 2차관 산하의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은 기후 및 에너지 정책의 융합에 초점을 맞추어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 탄소중립 이행을 가속화하는 임무를 맡는다.

환경부 제공
환경부 제공

특히 전력망정책국, 기후에너지정책관, 녹색전환정책관, 수소열산업정책관 등 새로운 조직이 신설됐고, 재생에너지산업과, 재생에너지보급과는 태양광산업과와 풍력산업과 등으로 세분화되어 산업별 지원 역할을 강화한다. 이는 현 정부의 강력한 재생에너지 확대 의지를 반영한 변화이다.

이번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은 산업부가 에너지 정책을 분리한 지 32년 만의 일로, 에너지 정책과 환경 정책을 통합·연계하여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그러나 에너지 정책이 산업 정책과 분리되면서 경제안보와 통상 측면에서 우려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대전환(K-GX)을 선도하고,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 국가로 부상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민 안전과 기본 환경권 보장을 위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