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전남 지역 해상풍력 사업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157조 원의 투자와 104만 개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 불평등 해소까지 동시에 이뤄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녹색전환연구소와 오션에너지패스웨이는 30일 언론브리핑을 열고 '전남 해상풍력 경제·환경·사회적 파급효과'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전남 해상풍력의 파급효과를 정량적 데이터로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전사업 허가 기준 전남 일대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총 57개, 약 18GW 규모다. 이는 한국 전체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용량의 59.2%로, 모든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비중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남 해상풍력 프로젝트 57건에는 총 156조 6000억 원이 투자될 것으로 추산된다. 연평균 3조 3000억 원 규모로,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경제전환팀장은 "반도체 라인 3~4개 증설에 맞먹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전체 투자비용 중 58.6%(약 91조 6000억 원)는 2028년부터 2037년까지 집중될 전망이다. 이는 전남 지역내총생산(GRDP)의 약 10%에 상당한다. 지역 내 최대 47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전국적으로는 최대 97조 원 규모의 부가가치와 약 104만 개 일자리로 파급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적 효과도 뚜렷하다. 18GW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25년간 상업운전을 거치며 총 4억 2900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 연간 배출량의 70%에 해당하며,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45조~85조 원을 절감하는 효과다.
또한 석탄 및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대체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 최대 66만 톤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석탄화력발전소 최대 8기를 대체하는 수준이다. 연구팀은 장기적으로 연안·해양 생태계 서식 환경 개선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회적 효과도 주목할 만하다.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통한 추가 세수는 2025년부터 2063년까지 연평균 1151억 원 규모로,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전남 지역 재정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별첨 4] 기후위기가 전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녹색전환연구소 제공](https://cdn.todayenergy.kr/news/photo/202509/289565_160871_2736.png)
주민참여형 이익공유제 도입 시 효과는 더욱 커진다. 연구팀은 이익공유제가 도입될 경우 39년간 주민 배당금 총액이 20조 원에 이르며, 주민 지분 참여를 10% 추가하면 최대 35조 원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민 1인당 평균 50만 원 이상이 지급되는 셈이다.
다만 이익공유제 시행 시 내부수익률(IRR) 하락이나 전기요금 상승 같은 부정적 요인이 뒤따를 수 있어 관련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연구팀은 이 같은 효과가 현실화되려면 정책적 기반과 제도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 보급 로드맵 제시, 산업 육성과 제도적 지원, 계통·항만·선박 등 핵심 기반시설의 선제적 확충이 필요하다. 특히 3~4GW 규모의 보급을 통해 발전단가를 절반 가까이 낮추는 과정이 국민 수용성 확보의 핵심 과제로 꼽혔다.
전남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해상풍력 산업 클러스터 조성, 배후항만·산업단지 개발, 전문 인력 양성, 투명하고 참여적인 민관협의회 운영 등이 필수적이라고 제안했다.
최기원 팀장은 "이번 연구는 해상풍력이 국가와 지역사회에 가져올 편익을 종합적으로 수치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이 기회를 살려 정책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다울 오션에너지패스웨이 한국대표는 "해상풍력은 단순한 전력 인프라가 아니라 기후대응과 지역 경제 활성화, 사회적 불평등 완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는 전략 산업"이라며 "한국이 산업 경쟁력을 지키고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녹색전환연구소와 오션에너지패스웨이는 10월 1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의실에서 '해상풍력을 하면 뭐가 좋은데?' 토론회를 개최한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 해상풍력의 확산 방안과 제도적 해법을 모색할 예정이다.
- 기후에너지환경부, 10월 1일 공식 출범
- 한중일 환경장관, 기후위기 대응 '새로운 행동' 약속
- 엑스엘리오, 텍사스에 태양광· ESS 복합 발전소 가동
- 中 구이저우, 15분 만에 전기 트럭 생산...'마법 같은' 공장 공개
- 전남 해상풍력 확대 논의 본격화
-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글로벌 공급망 새 판 깔았다”
- 슈퍼 부처 '기후에너지환경부' 10월 출범...제2차관, 기후·에너지 관할
- [창간특집 탐방] 에너지안보환경協, 에너지안보·환경 분야 ‘아시아 씽크탱크’ 꿈꾼다
-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국민 참여로 수립한다
- 지역 탄소배출 서울 2배…무상버스가 해법
- 환경부, 軍 환경담당관 대상 전문교육 실시
- 환경부, 공공하수도 관리 효율화·우수환경기업 글로벌 진출 ‘투트랙 지원’
- 기후에너지환경부, '컨트롤타워' 될 수 있을까...여야 이견 속 혼선 예고
- 환경부·UN ESCAP, 방콕서 제20차 정책토론회 개최
- 환경부, 환경재생 혁신복합단지 조성·어린이 환경보건 10주년 행사 등 주요 환경정책 발표
- 한국·유엔, 2035년 NDC 조기 제출 협의...“책임 있는 감축목표 수립”
- 미사용 전력망 용량 5년새 232배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