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에 들어설 문화공원 관리동을 에너지 자립률 200%를 자랑하는 ‘RE200’ 건축물로 짓는다.
이번 건축물을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수준 향상 시도’라고 강조하는 GH는 향후 ‘친환경적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선도하겠다는 입장이다.
7일 GH에 따르면 정부는 2017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며 고단열·고기밀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건축물 확산에 힘써왔다.
올해부터는 기존 1~5등급에 더해, 에너지 자립 수준이 120%를 초과하는 플러스(+) 등급을 도입했다. GH는 플러스 기준을 뛰어넘어 자립률 200%를 목표로 하는 RE200 건축물로 문화공원 관리동을 설계했다.
광명학온지구 문화공원 관리동은 연면적 약 660㎡로 에너지 홍보관과 카페, 하늘 전망대 등 시민들이 자주 방문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을 갖춘다.
GH는 이 관리동에 지하 유출수를 활용한 냉난방과 태양광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 패시브·액티브 기술을 적용한 에너지 소비 절감 방식 등을 채택해 관리동 에너지 자립률을 20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로 인해 생산된 에너지는 카페와 공원 조명, 전기차 충전소 등 다양한 이용 편의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광명학온지구는 광명시 가학동 일원 약 68만4000㎡ 부지에 4317세대의 주택을 공급하는 공공주택사업으로 지난해 11월 착공됐다. 이 사업은 GH가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개발사업 중 하나로 신도시 기반시설에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도입하는 혁신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김세용 GH 사장은 “광명학온지구에 이어 공사가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신도시 기반시설 제로에너지 건축물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RE100이 사회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 자립률 200%를 목표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적극 실현하려는 GH의 노력을 상징하는 이번 프로젝트가 향후 다른 공공주택지구 및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