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6차 집단에너지 기본 공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본사 전경. / 한국지역난방공사 제공
정부가 제6차 집단에너지 기본 공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본사 전경. / 한국지역난방공사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27일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확정, 공고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정책 연구용역, 전문가 T·F, 관계부처·유관기관 협의 및 지난 14일 진행된 공청회 의견을 반영해 최종 확정됐다.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6차 집기본)의 핵심 목표는 “청정 열원으로 전환하는 질적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세부 정책과제를 제시하며 △미활용 열 활용 증진 △청정 열원 로드맵 마련 △청정 열에너지 인증제도(RHC) 도입 △국가 열지도 고도화 △열 거래 가이드라인 수립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2028년까지 446만 세대 지역난방 공급

산업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2028년까지 총 446만 세대에 지역난방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4년부터 매년 11만~17만호 이상을 신규 보급한다. 구체적으로 2025년 400만6000호, 2026년 412만3000호, 2027년 430만5000호, 2028년 446만3000호로 설정됐다.

또 이번 계획에 따라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사업장은 54개로 확대된다. 이를 통해 4500만 TOE(석유환산 톤)의 에너지 절감과 920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청정 열원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온실가스를 줄이는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계획에는 집단에너지 사업의 다각화와 분산에너지 역할 확대를 위한 내용도 담겼다. LNG 용량시장 입찰제도가 도입돼 중앙계약시장을 통한 집단에너지 설비 선정 방식이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존 집단에너지 사업자는 그동안 열만 수용가에 직접 공급하고 전기는 전력시장에 판매했으나 분산특구에서는 열과 전기를 수용가에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는 분산에너지로서 집단에너지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중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6차 집기본을 통해 청정 에너지와 효율적인 열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덕근 장관은 “제6차 집기본을 통해 청정 열원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온실가스를 줄이는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