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전국 11개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신청한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이 9부 능선을 넘었다. 21일 정부는 분산형 전력 체계의 핵심인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7곳을 선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실무위원회’를 열고 △제주도 △부산광역시 △경기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 7곳을 최종 후보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 지역은 내달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식 특구로 지정될 예정이다.
분산특구는 지난해 6월부터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제도로, 장거리 송전에 기반한 중앙집중형 전력체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 내에서 소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에너지 신사업에 대한 규제 특례가 적용되고 전력 직접 거래가 허용되며, 저렴한 전기요금 체계가 도입되는 등 지역별 에너지 자립과 신사업 추진에 날개를 달게 된다.
산업부는 이번 후보지를 ‘신산업 활성화형(제주·부산·경기·경북)’과 ‘수요 유치형(울산·충남·전남)’으로 유형화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업 모델을 실증할 계획이다.
지역별 특성 맞춤형 모델 실증
제주도는 전기차를 배터리처럼 활용해 전력을 충·방전하는 ‘V2G(Vehicle to Grid)’ 기술을 실증하며, 부산시는 국내 최초로 500MWh 규모의 ESS 팜(Farm)을 조성해 데이터센터와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신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 의왕시는 ESS를 이용해 전기차 충전소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며, 경북 포항은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수소엔진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영일만 산업단지 내 이차전지 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다.
울산과 충남은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발전사가 직접 거래를 통해 저렴한 전기를 공급한다. 탄소배출권 연계 요금제 등도 도입한다. 전남 해남은 솔라시도 태양광 단지에 AI 데이터센터 유치와 함께 RE100 기반 전력공급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후보지들이 최종 특구로 확정될 경우, 데이터센터 유치와 산업단지 전기요금 인하, 재생에너지 기반 무탄소 전력 확대 등 다양한 성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지자체, 지역 발전사, 산업단지,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다양한 분산형 에너지 모델이 발굴된 점이 큰 성과”라며 “분산특구가 에너지 체계 전환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후속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특구 선정은 기존 중앙집중형 전력시장 중심의 구조를 분산형 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는 신호탄으로 향후 전국적 확산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