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영국은 2019년 세계 최초로 법제화된 2050년 넷제로(Net Zero by 2050) 목표를 내세우며 기후 리더십을 자임해왔다. 그러나 최근 경제 불확실성과 글로벌 정세 변화 속에서 핵심 정책의 수정, 연기, 재해석이 잇따르고 있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향한 직선로는 점점 곡선으로 변하고 있는 셈이다.
■ [2019년] 세계 최초 ‘넷제로 법제화’…기후리더십 선언
테리사 메이 총리 정부 시절인 2019년, 영국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Net Zero)**를 법으로 규정했다. 이는 탈석탄·재생에너지 확대·전기차 전환 등 광범위한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적 조치였다. 이후 노동당과 보수당 모두 이를 지지하는 정책을 잇따라 내놓으며 정파를 초월한 기후 목표로 자리 잡았다.
■ [2021~2022년] COP26 개최와 ‘그린 인플레이션’ 병행
영국은 2021년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개최국으로서 글로벌 감축 리더십을 강조했다. 하지만 **에너지 가격 폭등과 공급망 충격(그린 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되면서, 기업과 소비자 모두 비용 부담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 [2023년 이후] ‘후퇴 시그널’…하이브리드차 판매금지 연기
2023년, 보수당 정부는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금지 시점을 2030년에서 2035년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 이후 글로벌 규제 완화 흐름에 동조한 조치로 해석되며, 영국의 기후 공약 일관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또한 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주택 단열 의무화 등 일부 넷제로 세부정책도 “현실 반영 필요”라는 이유로 수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 [2025년 현재] 중소기업·야당 반발 확산…정책 이행의 시험대
2025년 기준, 에너지 비용 상승과 세금 부담에 직면한 중소기업들은 넷제로 이행을 “후순위로 밀어둘 수밖에 없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야당 일각에서는 “2050년 목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정책 방향성보다 이행 전략의 현실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