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피로감’ 커지는 영국에선 AI가 친환경을 밀어내고있다. /이미지 편집
‘탄소중립 피로감’ 커지는 영국에선 AI가 친환경을 밀어내고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영국 중소기업(SME)들이 기후변화 대응보다 비용 절감에 더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최근 영국 기술기업 바이오닉(Bionic)이 약 500명의 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지난 1년간 넷제로(Net Zero, 탄소중립) 실천을 후순위로 미뤘다고 응답했다. 이는 에너지비용 상승, 세금 부담 증가, 경기 둔화 등의 영향 속에서 ‘친환경 정책 탈우선화’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글로벌 '포스트 넷제로' 흐름…트럼프 행정부의 파장

이번 흐름은 단순한 일국의 문제가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 이후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추진됐던 친환경 정책들을 대거 철회하거나 후퇴시키는 기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도 ‘탄소중립 후퇴’의 빌미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영국 정부는 하이브리드차 판매금지 시점을 2030년에서 2035년으로 연기했으며, 일부 넷제로 관련 규제의 완화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한편, 노동당 정부는 여전히 넷제로 투자를 성장의 핵심 정책으로 유지하고 있지만, 보수당 케미 바데노흐(Kemi Badenoch) 당수는 "2050년 넷제로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공언하며 정치권 내 이견도 표출되고 있다.

■ 중소기업, 넷제로보다 AI 택한다

기후위기 대응보다 우선순위로 떠오른 것은 인공지능(AI) 도입이다. 바이오닉의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 기업들이 AI 도입 계획을 밝히고 있으며, 영국 통계청(ONS) 역시 5개 기업 중 1곳은 이미 AI를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그린 전환보다 디지털 혁신에 무게를 싣는 전략 전환의 한 단면으로 해석된다.

옥스퍼드대 디터 헬름 교수는 “넷제로 정책이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정책 비용 대비 편익의 불균형에 대한 재평가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