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이탈리아 총리 조르자 멜로니(Giorgia Meloni)가 자국 내 에너지 가격 상승을 "정부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경제 문제"로 지목하고, 가격 형성과정에 대한 전면 분석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탈리아 주요 경제단체인 콘핀두스트리아(Confindustria) 연례총회에서 나온 발언으로, 고조되는 에너지 비용에 대한 정치권과 산업계의 경고음을 동시에 보여준다.
■ 전력가격 왜곡 조사 착수 "시장 내 이상 신호 감지… 가격 결정 메커니즘 들여다볼 것"
멜로니 총리는 볼로냐에서 열린 콘핀두스트리아 행사에서 "이탈리아 전력시장에서 형성되는 국가 단일가격(PUN: Prezzo Unico Nazionale)에 대한 기능 분석을 통해, 가격 급등의 원인이 투기(speculation)에 있는지를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생산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이들의 희생 위에 투기가 이뤄지고 있다면,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 산업계 "EU 평균 대비 최대 80% 더 내...에너지세 인하·원전 재도입 등 대안 제시
이탈리아 산업계를 대표하는 콘핀두스트리아의 에마누엘레 오르시니(Emanuele Orsini) 회장은 "이탈리아 기업들은 유럽 평균보다 35%, 대형국가 대비 최대 80%까지 더 높은 에너지 가격을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르시니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전력요금 결정구조 개편, △재생에너지 생산 규제 완화, △원자력 발전 재도입 검토를 제안했다.
1987년 국민투표로 원전이 전면 금지된 이후, 이탈리아는 전력 공급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확대도 규제 및 인허가 지연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