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전력 설비 정비 전문기업 한전KPS가 올해 연말까지 전국 66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장 안전점검을 진행 중인 가운데,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또다시 비극이 발생했다.

한전KPS 발전안전사업본부장인 김도윤 부사장(사진 가운데)은 최근 동탄 정비공사 현장을 찾아 작업환경과 근로자 안전을 점검했다./한전KPS 제공
한전KPS 발전안전사업본부장인 김도윤 부사장(사진 가운데)은 최근 동탄 정비공사 현장을 찾아 작업환경과 근로자 안전을 점검했다./한전KPS 제공

지난 2일 오후 2시 30분경, 태안화력 부지 내 한전KPS 종합정비동 1층 공작기계실에서 2차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김충현(50) 씨가 선반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시 현장에는 김 씨 혼자였고, 고인의 비명도, 동료의 외침도 기계음에 묻혀버렸다.

태안화력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사람의 소리는 누구도 듣지 못했다"며 "노동자들이 그토록 외쳤던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라'는 요구도 외면받았다"고 비판했다.

김 씨는 2016년부터 태안화력에서 일한 2차 하청업체 한국파워O&M 소속 노동자로, 태안화력의 정비 업무를 위탁받은 한전KPS가 이를 다시 다수의 소규모 하청업체로 재외주하는 구조 속에서 일해왔다. 대책위는 "돈에 눈 먼 사장들이 공공기관이 던져준 먹이에 달려들며 하청의 하청, 비정규직의 비정규직으로 노동자들이 찢어졌다"고 지적했다.

더 큰 논란은 한전KPS가 사고 보고서에 "파급피해·영향 없음"이라는 문구를 적어 넣으며, 발전 설비와 관련 없는 사고로 분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거졌다. 대책위는 "노동자의 죽음 앞에 애도와 책임은 없고 발전소 가동 여부만 챙기는 반인간적 행태"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사고보고서  / 출처 공공운수노조
사고보고서  / 출처 공공운수노조

사고 직후 한전KPS가 사고 조사보다 언론 동향부터 챙긴 정황도 확인됐다. 보고서에는 '언론 기사 6건'이 언급돼 있었고, 대책위는 "정확한 사고 조사보다 여론 관리가 우선이라는 점에서 2018년 고 김용균 노동자 사망사고 때와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태안화력은 2018년에도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 씨가 홀로 작업 중 목숨을 잃은 사고가 발생했던 곳이다. 당시에도 외주화 구조와 인력 부족이 문제로 지적됐지만, 6년이 지난 지금까지 노동 현장은 달라지지 않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