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한국전력이 향후 15년간의 국가 전력망 청사진을 담은 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발표했다. 총 72조 8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급변하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대비하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같은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 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하지만 200조 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한국전력의 재무 상황은 이번 계획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호남-수도권 간 초고압 직류 송전(HVDC)망을 재편하고, 용인 반도체 국가 산단에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전소를 신설하는 것이다. 또한, 전력 계통 안정화를 위한 신기술 설비 도입도 계획되어 있다. 문제는 투자비가 10차 계획 대비 30% 가까이 급증했다는 점이다. 자재비 상승, 지중화 사업 비중 증가, 미래 전력 수요를 반영한 신규 설비 투자 확대 등이 그 원인이다. 특히 지중선로 건설에만 7조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어서, 한국전력의 재정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은 경영 효율화와 원가 절감을 통해 재원을 마련하고, 불가피한 경우 회사채 발행과 같은 외부 차입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200조 원이 넘는 부채와 연간 4조 원이 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서, 72조 원이 넘는 투자를 계획대로 진행할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더욱이 물가 안정을 우선시하는 정부의 공공요금 억제 기조와 정치권의 요금 인하 공약은 한국전력의 재무 개선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계획의 실현을 가로막는 또 다른 난관은 민원과 인허가 문제로 인한 전력망 건설 지연이다. 또한, 전력망 계획 수립-건설-운영 체제의 비효율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계획’보다 ‘전망’ 성격이 강해진 점 역시 송변전 계획의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송변전 설비 계획은 국가 에너지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투자다. 특히 남서부 지역의 해상풍력 및 태양광 발전 등 증가하는 재생에 너지 전력을 수도권으로 안정적으로 송전할 기간망 구축은 에너지 전환의 성패를 좌우 한다. 따라서 계획된 일정에 맞춰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은 미래 산업 수요에 대비하고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 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므로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