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새 정부가 본격적인 정부 조직 개편 논의에 착수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환경부의 기후 분야와 산업부의 에너지 분야를 각각 분리해 새 정부 부처인 '기후 에너지부'를 신설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데 따른 것으로 산업부 내 통상교섭본부를 분리해 독립시키는 방안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산업부의 현재 내부 분위기가 어떤지 현장을 살펴보고 여러 관계자의 의견을 들어봤다. 먼저 이원주 산업부 대변인은 조직 개편과 관련해 "각자 어느 부서에서 어떤 업무를 맡게 될지에 대한 관심은 많으나 뒤숭숭한 분위기는 아니다”라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산업부가 조직 개편 대상이 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 막중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산업부는 정권 교체 시마다 에너지·통상·산업 정책의 변화에 따라 조직 개편 대상이 됐다.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 이 대변인은 “현재 상황에서 이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신설될 경우 지원할 부분이 있으면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익명의 산업부 관계자들 역시 “조직 개편과 관련해 내부 분위기가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해 부정적 입장인 사람도 있으나 이를 새로운 기회로 보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조직 개편 방향은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기후를 비롯한 에너지 정책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높이고 국제 통상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현재 새 정부의 조직 개편 논의는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 단계에 진입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향후 국회 논의와 각 부처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안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