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성환 의원실 제공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성환 의원실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새 정부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공식화하면서, 부처 입지를 둘러싼 지자체 간 유치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전라남도가 가장 먼저 포문을 열었다.

그러나 초대 장관으로 유력시되는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세종시가 적합하다”고 밝히면서, 전남 유치 가능성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지난 11일 입장문을 통해 “기후에너지부는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수도 전남, 특히 한전·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가 기후에너지부의 최적지”라고 강력히 유치 의지를 밝혔다.

전남도는 그간 △3.2GW 해상풍력 △청정수소 클러스터 △CCUS 사업 △블루카본 기반 해양생태공원 등 에너지·기후 대응 관련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추진해왔다.

특히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경쟁에도 나서는 등 글로벌 기후리더십 확보를 위한 행보도 병행하고 있다.

이 같은 점을 근거로 김 지사는 “전남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실행 거점”이라며 “기후에너지부가 실효적 기능을 하기 위해선 현장 중심의 입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새 정부 에너지 정책 설계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김성환 의원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기후위기 대응의 정책기능은 환경부, 실행기능은 산업부에 나뉘어 비효율적”이라며 “정부 부처 간 협업이 매우 중요한 만큼 세종시가 적합하다”고 못 박았다.

지난 11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새 정부의 ‘기후에너지부’ 공약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지난 11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새 정부의 ‘기후에너지부’ 공약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아직은...하반기 주목
실제 현행 정부조직법상 산업부, 환경부, 국토부, 기재부 등 주요 부처들이 모두 세종시에 자리하고 있어 조직 통합 및 정책 연계 측면에서 세종시 잔류는 행정적 효율성을 확보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김 의원은 “정부조직 개편은 단계적으로, 합리적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기존 부처의 동의도 고려해 갈등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후에너지부의 지역 이전 가능성’에 선을 긋는 것으로 해석되는 김 의원의 발언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사례와의 비교 선상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해양산업 특성과 지역 연계성이 주요 이전 근거였던 해수부와 달리, 기후에너지부는 정책·산업 융합의 ‘컨트롤타워’ 기능이 강조되는 만큼 부처 간 밀접한 협업이 핵심이란 주장이다.

일각에선 이번 전남도의 기후에너지부 유치 행보를 두고 “대통령 공약 이행을 명분으로 지역균형발전 논리를 다시 꺼내든 셈”이라며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내 에너지 공공기관 밀집을 내세운 전남도의 전략은 이해되나, 새 정부 조직 개편 초기 구도에선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냉정한 분석도 나온다.

다만, 전남도가 꾸준히 강조해온 ‘현장성과 실행력’,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 속에서 광주·전남 에너지 클러스터의 실질적 기여도가 부각된다면 정책 연계 거점으로서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논의될 여지가 있다는 평가다.

한 에너지 정책 전문가는 “세종시 중심 부처 간 협업은 행정 효율성 측면에서 당연하지만, 실제 실행력을 강화하는 거점이 지역에 존재해야 한다는 주장은 동시에 고려돼야 한다”며 “전남이 제시하는 모델이 ‘에너지 수도형 분산 행정’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다면 후속 논의에서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를 둘러싼 ‘중앙 집중 vs 현장 실행’의 갈림길에서 어느 쪽에 무게가 실릴지, 정부조직 개편 논의가 본격화될 하반기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