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인천광역시가 올해를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시한으로 못 박은 가운데, 서울시의회가 쓰레기종량제 시행 30주년을 맞아 지속가능한 자원순화 대책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한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오는 25일 오후 2시 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시 자원순환정책 돌아보기: 종량제 30주년 포럼’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1995년 전격 도입된 종량제 정책의 성과와 구조적 한계를 되짚고, 2026년도로 예정된 수도권 직매립 금지 조치를 앞두고 서울시의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마련 차원에서 마련됐다.
포럼은 이 의원과 서울환경연합과 녹색서울시민위원회가 공동 주관하며, 현장 실무자와 자원순환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실천적 정책과제를 폭넓게 제시할 계획이다.
1부 발제에서는 홍수열 서울환경연합 쓰레기위원장이 ‘종량제 30주년의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종량제 도입 배경부터 30년간의 변화와 현재 드러난 구조적 문제까지 폭넓게 조명할 예정이다.
이어 정미선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이 ‘서울시 자원순환 정책과 미래과제로서의 제로웨이스트 시티’를 주제로 정책 방향을 소개한다.
2부 종합토론은 시민사회, 민간, 행정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해 △감량 정책 △재사용 확대 △분리배출 체계 개선 △음식물쓰레기 관리 △자원회수시설 운영 등 실천 중심의 대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이영실 의원은 “천만 시민이 살아가는 서울에서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정책적 혁신과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실천, 산업계의 변화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포럼이 단순한 쓰레기 감량을 넘어, 자원의 선순환과 재사용, 궁극적인 폐기물 발생 억제를 통해 서울이 ‘제로웨이스트 도시’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