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남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공
김규남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전력 자립률 제고 및 에너지 정책의 미래 전략 수립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에 나선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은 12일 ‘서울특별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안에는 총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으며, 서울의 전력 수급 구조 개선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 정책 마련을 위한 포괄적 논의가 추진될 전망이다.

서울은 현재 전체 전력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 AI 산업 고도화, 데이터센터 급증 등에 따라 전력 수요는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도심 내 전력기반 시설은 노후화돼 안정적인 공급체계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 등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체계를 갖추지 못하면 서울의 산업 경쟁력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특위를 통해 에너지정책 전반을 면밀히 점검하고 미래 산업을 견인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략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에 발맞춰 서울시 역시 지방정부 차원의 중장기 에너지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제332회 임시회에 상정될 예정인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는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돼 6개월간 활동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