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위원장 임만균, 더불어민주당 관악3)는 제330회 임시회 현장방문 일정 일환으로 서울에너지공사(공사) 본사 등을 방문, 에너지 공급시설·폐기물 처리 운영 실태를 점검했다.
위원들은 28일 공사 시찰을 통해 ‘서남권 집단에너지시설(마곡 열병합발전소)’ 사업에 대해 “전문용역 결과와 별개로 지역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며 “사업 진행이 지연되지 않도록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공사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공사 본사 내 태양광 실증단지 및 목동 플랜트 등을 둘러본 위원들은 “시민 에너지 복지와 직결된 사업인 만큼, 투명한 정보 공유와 공사의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강조하며 향후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 실행을 촉구했다.
임만균 위원장은 이날 방문에서 “천만 시민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이어가겠다”며 “시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에너지공사에선 지난 25일 황보연 사장 주도로 기습 단행된 조직개편과 인사 발령을 두고 내부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시의원들이 방문한 28일은 인사 발령 시행 당일이었다.
황 사장의 전격적인 조치는 ‘신사업 개발’과 ‘흑자 경영’을 내세운 개편이었지만, 실제로는 과거 서울시 태양광 사업에 관여한 인물들이 핵심 요직에 배치되는 등 시행 직후부터 ‘코드 인사’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관련기사 ☞).
특히 열공급 책임이 막중한 서부지사장직에 열 분야 경험이 없는 태양광 위주 커리어 보유자가 임명되면서 전문성 결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또 시의회 감사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된 태양광 졸속 사업 관련 인물들이 요직에 중용됐고, 실패한 사업을 주도한 인사가 ‘미래전략실장’으로 승진하면서 내부에서는 “줄만 잘 서면 승진하는 조직”이라는 냉소가 이어지고 있다.
- “이게 흑자경영인가”...서울에너지공사 ‘코드인사’와 조직개편 강행에 내홍 격화
- 서울에너지공사, ‘600억 출자금 부실관리’에 태양광 사업도 졸속 추진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⓷기로에 선 위기극복 전략
- [단독] 서울에너지공사 노동조합, 황보연 사장 고발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⓶‘리더십의 한계’와 의문의 사퇴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⓵ ‘낙하산 인사’와 ‘박원순 지우기’
- 서울시 에너지 정책 ‘미완의 실험’… 존립 흔들리는 서울에너지공사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대표 발의
- [포커스] “사고 나면 또 수습?”...서울시, 열수송관 ‘땜질식 대응’ 언제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