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민관이 협력해 탄소감축과 순환경제 등 녹색전환을 촉진할 해외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국내 기업의 수주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조성이 본격화 됐다.

환경부는 지난달 30일 기준 총 2592억원 규모의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2호를 조성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월 조성한 1580억원 규모의 1호 펀드에 이은 두 번째로, 정부가 1500억원, 민간이 1092억원을 출자하며 민관 합동 투자가 이뤄졌다.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추진하는 탄소감축, 순환경제, 물 산업 등 녹색전환 프로젝트에 투자해 수주 및 수출을 촉진하는 게 주된 목적이다.

이 펀드는 녹색산업 분야 신시장 개척과 기술 수출, 글로벌 수요 대응을 촉진하는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앞서 환경부는 1호 펀드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시설 사업에 투자를 승인한 바 있으며, 올해 안으로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승인을 목표로 다양한 녹색전환 프로젝트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 투자 유망 분야는 △폐배터리·태양광 폐패널·폐플라스틱 재활용 등 순환경제 영역 △매립가스 발전·바이오가스 생산 등 탄소감축 분야 △해외 물 산업과 연계된 친환경 인프라 사업 등이다.

폐배터리 재활용의 경우 니켈(Ni), 코발트(Co), 리튬(Li) 등 희소금속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폐플라스틱 및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산업 또한 ESG 규제에 선제 대응하는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환경부는 2028년까지 총 3000억원을 정부가 출자하고 민간투자 2000억원을 유치, 3개 펀드를 통해 총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2호 펀드에 이어 2025년 중에는 920억원 규모의 3호 ‘프로젝트 펀드’를 순차적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펀드 조성과 운용은 해외사업 투자 전문성과 PIS(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펀드 관리 경험을 보유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맡아 블라인드 펀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 펀드가 국내 녹색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관련 기업들의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전환이 가속화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국내 기술 경쟁력을 수출성과로 연결하는 통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급성장하는 전 세계 녹색산업 시장에서 국내기업이 선전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투자 지원뿐만 아니라 수주지원단 파견 등 현장 지원까지 더욱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