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간쑤성 태양광 발전단지/중국전건 제공
중국 간쑤성 태양광 발전단지/중국전건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 정부태양광전기차(EV, Electric Vehicle) 산업에서 심화되는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 높은 구조 개혁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산업 전반에서 과도한 생산능력 확대와 출혈경쟁이 지속되면서 일부 기업이 심각한 재무적 압박을 받자, 정부가 비효율적 생산시설을 정리하고 인수합병(M&A)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시장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이다.

■ 태양광 시장 공급과잉 2년 지속 가능성

중국 태양광 패널 시장은 최근 수년간 정부 보조금 정책과 투자 열풍으로 급격한 생산능력 확장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글로벌 수요 증가 속도를 넘어선 공급 확대가 이어지면서 업계 전반이 ‘공급과잉 상태(Supply Glut)’에 직면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의 공급 과잉 상황이 최대 2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가격 하락 압력이 중소형 제조사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저품질 제품이 시장에 대거 유입되면서 글로벌 태양광 산업 전반의 신뢰도 저하와 함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품질 관리 강화와 비효율 공장 정리를 병행하는 정책을 통해 시장을 재편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 전기차·배터리 산업도 과잉생산 직격탄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 또한 유사한 상황을 겪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대규모 인센티브를 지원하며 산업 생태계를 급속히 키워왔다. 그 결과, 다수 기업이 앞다퉈 생산능력을 확대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배터리 생산 용량 과잉(Excessive Battery Capacity)’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일부 배터리 업체는 가동률 하락과 가격 인하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됐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공급 초과가 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 정부는 시장 내 부실 기업을 자연스럽게 퇴출시키고, 기술력과 효율성을 갖춘 기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재편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내수 활성화·수출 균형 맞추기 병행

중국 당국은 공급과잉 문제 해소와 동시에 내수시장 활성화 및 해외 수출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 태양광·전기차 수요를 확대하고, 해외 시장에서는 덤핑 논란을 피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출 루트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일부 기업의 도산과 시장 변동성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