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Canada의 캐나다 키티맷 LNG 시설
LNG Canada의 캐나다 키티맷 LNG 시설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의 Fluor 일본 JGC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합작벤처가 캐나다 LNG Canada 프로젝트 2단계 기본설계(FEED, Front-End Engineering Design) 계약을 수주했다.

이번 계약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Kitimat 지역에서 진행되는 북미 최대급 LNG 개발 프로젝트의 생산·저장·수송 능력 확대를 위한 사전 설계 작업을 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 1단계 가동으로 연간 1400만 톤 LNG 수출 개시

LNG Canada 프로젝트는 1단계 개발을 마치고 최근 상업 가동에 들어갔다. 1단계 생산 능력은 연간 최대 1,400만 톤이며, 40년간 LNG 수출 라이선스를 확보한 상태다. 이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부 셰일가스 자원을 활용해 석탄 발전을 대체할 LNG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향후 글로벌 탄소중립 전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한국가스공사(KOGAS), Shell, Petronas, PetroChina, Mitsubishi 등 글로벌 에너지 메이저들이 지분을 보유하며 LNG Canada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2단계 FEED 착수…생산능력·저장시설·수송 인프라 확대 예정

이번 FEED 계약을 통해 Fluor-JGC 합작벤처는 2단계 프로젝트의 구체적 설계와 비용 산정, 공정 최적화 방안 등을 마련하게 된다. 2단계는 △추가 액화 트레인 건설 △저장 탱크 및 해상 출하 설비 확충 △파이프라인 연결 용량 확대 등을 포함하며, 완공 시 전체 생산 능력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다만 최종투자결정(FID, Final Investment Decision)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으며, 프로젝트 파트너사 간 협의가 진행 중이다. 투자 규모와 공사 일정은 FID 이후 확정될 예정이다.

■ 글로벌 LNG 공급망·탈석탄 에너지 전환 ‘핵심 허브’로 부상

LNG Canada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부 셰일가스의 아시아 수출 통로 역할 △석탄 발전 대체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북미 LNG 공급망 다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 일본, 중국 등 주요 수입국의 장기 계약 물량 확보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2단계 확장은 향후 LNG 가격 안정화와 글로벌 공급 균형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용어 설명 :

 · Fluor Corporation(플루어 코퍼레이션) = 미국의 세계적인 종합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EPC,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및 유지관리 서비스 기업으로,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한다. 플루어는 석유·가스, 화학, 에너지, 인프라 사업 분야에서 설계부터 건설, 운영까지 전 과정을 총괄하는 글로벌 리더로 꼽힌다. 혁신적인 기술력과 광범위한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 복합 플랜트, 에너지 및 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Fluor라는 명칭은 창립자의 이름인 존 사이러스 플루어(John Simon Fluor)에서 유래되었다. 1912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된 이 회사는 창립자의 성을 회사명으로 사용하여 전문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EPC)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로 성장했다.

 · JGC 코퍼레이션(Japan Gasoline Company  Corporation) = 1928년 일본에서 석유 정제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정유 사업 대신 엔지니어링 사업에 집중하면서 세계적인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성장했다. 주로 석유화학, 정유, LNG, 발전, 인프라 분야에서 세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JGC는 높은 기술력과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 역량으로 대형 에너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으며, 지속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기본설계(FEED, Front-End Engineering Design) =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수행되는 상세 설계 전 단계의 엔지니어링 작업으로, 프로젝트의 기술적 범위, 비용, 일정 등을 정의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FEED는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청사진 역할을 하며, 설계, 조달, 시공 등 후속 단계의 기반이 된다. 이를 통해 비용 초과와 일정 지연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이해관계자 간 명확한 합의를 도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FEED 작업은 에너지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점점 더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