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LS일렉트릭이 미국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4600만 달러(약 641억원) 규모의 배전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글로벌 메이저 빅테크 기업의 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한 프로젝트다. LS일렉트릭은 마이크로그리드 내 가스 발전 설비에 대한 배전 솔루션을 담당한다. 내년 2월부터 7월까지 순차적으로 배전반 패키지를 납품할 예정이다.
미국에서는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 급증으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전력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전력 부족과 송전망 노후화로 신규 데이터센터들이 기존 전력계통 연계보다 자체 발전을 통한 분산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를 선호하는 추세다.
LS일렉트릭은 국내 스마트그리드·마이크로그리드 분야 대표 기업으로, 분산형 전원에 필요한 DC 전력기기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데이터센터 마이크로그리드 최적화 배전 솔루션으로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10여 년 전 국내 중전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 배전시장 진출 필수인증인 UL 인증을 확보했다. LG, 삼성, SK, 현대차 등 국내 주요기업들의 미국 현지 설비투자에 따른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북미 사업을 확장해왔다.
최근에는 로컬 유통망 사업 확장과 함께 분산에너지, 데이터센터, 제조공장 등 현지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메이저 빅테크 기업에 배전 전력기기를 공급하며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LS일렉트릭의 북미 매출은 1조3000억원 수준으로, 이 중 70% 이상을 차단기, 개폐기 등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반 등 배전 시스템이 차지했다.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 확대로 회사 배전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복수의 빅테크 기업과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 논의가 이어져 왔다. 이번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로 본격적인 사업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2023~2028년 연평균 1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AI 서버 전력수요까지 합치면 연평균 26~36%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전력망 투자 규모도 지난해 2350억 달러에서 2030년 5320억 달러, 2050년 6360억 달러로 30년간 3배 성장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빅테크 기업이 최종 고객이지만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구체적 사명을 공개할 수 없다"며 "글로벌 IT 업계 대표 기업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용 전력 인프라 공급자로 선정된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신뢰성을 입증한 성과"라고 말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부족에 따라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전력 인프라가 각광받고 있다"며 "동일 고객사로부터 올해 안에 후속물량 발주 가능성이 높고, 미국 전역 유사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어 이번 사업이 북미 배전 시장 급성장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LS에코에너지, 인니 진출 가속화
- LS전선, AC·DC 겸용 케이블 국내 첫 출시
- LS그룹, AI시대 전력솔루션 선도
- LS에코-베트남 JDA 체결
- LS전선, LS마린솔루션 유상증자 2909억원 전액 청약 결정
- LS ELECTRIC-네이버클라우드 AI 협력
- LS일렉트릭-GE버노바 전압형 HVDC 국산화 추진
- LS마린솔루션 상반기 최대실적 달성
- LS마린솔루션, 베트남 진출 가속화
- LS전선, HVDC 케이블 생산능력 4배 확대
- LS전선, 고내구성 USB 케이블 국산화 성공
- LS일렉, 북미시장 본격공략
- LS전선, 국내 최초 MV 내화케이블 상용화
- LS일렉트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볼보그룹코리아 LS일렉트릭과 에너지통합관리 솔루션 완공
- 산업부 HDVC용 변압기 개발 4개社 선정
- LS-한진, 친환경 물류 전동화 협력
- LS일렉트릭, 창립 이래 첫 임단협 전면위임
- [분석] LS일렉트릭-하니웰 협력의 의미와 향후 전망
- LS에코에너지, 인도네시아 IDC에 버스덕트 첫 수출
- LS일렉트릭, 英일렉시스와 데이터센터용 저압 저전반 개발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