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포스터./ 환경부 제공
행사포스터./ 환경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업 전환이 ‘중장비 영역’까지 확대된다. 환경부는 제6회 ‘푸른 하늘의 날(9월7일)’을 맞아 4일 오후 고양 킨텍스에서 ‘건설·농업기계 전동화 현황 및 과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탄소 다배출 분야로 꼽히는 건설·농업기계 부문의 전동화 실현을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다.

기조발표를 시작으로 1부와 2부에 걸쳐 건설기계와 농업기계 각각의 전동화 동향과 정책·기술 과제, 산업 생태계 육성 방향 등이 집중 논의된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건설기계 약 55만4000대 가운데 전동화 기종은 약 8500대(1.5%), 농업기계는 약 197만8000대 중 2만2000대(1.1%)로, 전동화율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는 고출력 요구, 장시간 운용, 현장 환경의 열악성 등 기계 특유의 기술적 제약과 복합적 현실 때문이다.

환경부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해당 분야의 중·장기 이행안(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전동화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육성 전략도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신산업 기반 일자리 창출 ▲수출 경쟁력 확보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탈탄소 녹색문명 사회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미래로 화석연료 기반 건설·농업기계의 전동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전동화를 위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와 협력하여 전기 건설·농업기계 산업 분야의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토론회를 국내 전동화 시장 확장의 ‘신호탄’으로 평가하면서 규제 완화, 표준화 정책, 배터리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등 다각적 접근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환경부는 향후 추가 공청회 및 산업계 간담회를 통해 정책 방향을 세밀하게 조정, 실증사업 등 현장 기반의 전략 추진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