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주필] 한국은 에너지의 93%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정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아우르는 통합 에너지 믹스 정책을 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에너지 믹스는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가 되었다. 정부는 ‘기후에너지 부’ 신설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RE100 산업단지 조성, AI 기반 스마트그리드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AI 산업의 성장은 막대한 전력 소비를 수반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로 100% 전력을 충족 하는 RE100 산업단지 조성 계획은 산업계와 에너지 학계에서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이 대립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해법이 제시되고 있다. 즉, 균형 잡힌 에너지 정책을 통해 미래 전력 수요를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는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 분명하 다. 우리나라의 경우,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이념적으로 대립시키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인 에너지 믹스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AI 산업의 발전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등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한국형 에너지 믹스 해법 마련이 시급한 과제라고할 수 있겠다.
2025년은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행 정책 기조로는 목표 달성에 여러 현실적인 제약이 따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기후솔루션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의 공동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정책 기조가 유지될 경우 2032년부터 반도체 산업의 재생에 너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시작하며, 2038년에는 부족분이 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반도체 산업과 같이 전력 소모가 큰 핵심 산업의 RE100 달성에 심각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정부의 현행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인 21.6%로는 RE100 이행을 위한 반도체 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가 산업에 할당된 발전량의 94%에 육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반도체 산업이 국제 탈탄소 기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음을 시사한다.
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확대는 예상되지만, 이와 동시에 안정적인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제약들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 전력 수급 불안정성 심화에 따라 기업들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고 전력 조달의 다변화를 추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언급된 제약들을 극복하고 재생 에너지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상향, 기업의 PPA(전력구매계약) 확대, 다양한 전력원 조합 및 ESS 활용 등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형 통합 에너지 믹스 정책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