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ESS시스템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 LS머트리얼즈 제공
하이브리드ESS시스템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 LS머트리얼즈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공공기관 10곳 중 7곳이 에너지저장장치 설치 의무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산자위 간사, 목포시)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공공기관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의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기관 306개 중 106곳만 설치해 이행률이 34.4%에 불과했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전력 수요가 낮은 시간에 전기를 저장해 수요가 급증하는 피크 시간에 공급하는 장치로, 전력 수급 안정과 예비 전원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공공기관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계약전력 2000kW 이상 건물에 5% 이상 규모의 ESS를 설치해야 한다.

ESS 구축을 총괄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하기관의 설치 현황에서도 설치 의무 대상 22개 중 13곳만 설치됐으며 9곳은 설치되지 않았다.

ESS 설치의무 미이행 산하기관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9곳이다.

김원이 의원은 "공공기관들이 설치의무를 외면하고 있는 사이 에너지 위기 대응력은 떨어지고 있다"며 "정부는 공유형 ESS, 축전식 냉방설비 등 다양한 대안을 도입해 설치율을 높이고, 설치 의무화와 함께 필요한 예산 지원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3년간 공기관 ESS 설치현황>

(단위 : 개, %)

연 도

의무 대상기관(A)

이행기관(B)

미이행 기관(C)

이행률(B/A)

2022

471

91

380

19.3

2023

281

69

212

24.6

2024

308

106

202

34.4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