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서울에너지공사(공사)가 2026년 흑자전환을 목표로 본격적인 경영개선에 나섰다. 공사는 최근 몇 년간 연속된 적자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사고 예방과 열병합설비 최적화, 효율적인 설비 운영에 집중한 결과 당기순이익이 급증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 동절기 동안 전년 대비 130억 원의 당기순이익 증가를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의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영화 논란’ 속에서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서울에너지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황보연 사장이 취임한 이후 동절기 사고예방 및 열공급 안정화에 중점을 두고 ‘무사고 100일 선언’을 통해 현장 집중 점검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단 한 건의 열공급 중단 사고 없이 ‘무사고 동절기’를 달성했다.
이와 관련, 공사는 최근 5년간 처음 이룬 성과라며 공사의 안전관리 역량이 대폭 강화된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사고 예방 조치는 공사의 재정 건전성 회복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사는 또 설비 운영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통해 LNG 사용량 절감과 에너지 손실 최소화에 성공했다고 자평했다.
공사 발표에 의하면,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천연가스 가격 폭등으로 큰 적자가 발생해 충격을 안겼지만 이후 2023년 공사의 적자 규모는 649억 원에서 233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공사는 올 경영 상황과 관련해 예상보다 큰 폭으로 적자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며, 흑자전환 목표가 현실적 상황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사는 AI 기반 자동운전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열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기상청의 일기예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열생산량을 예측하고, 설비 상태를 실시간 분석해 가동설비의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결정한다. 이를 통해 설비 사고 제로화와 운영 비용 절감,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종합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공사는 이를 서남 집단에너지시설에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흑자전환 전망과 민영화 논란
그러나 공사의 경영개선 성과에도 불구하고 민영화 논란은 여전히 뜨겁다. 2016년 설립 이후 8년 연속 적자 상태를 이어온 공사는 흑자전환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민영화 필요성 논란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와 공사 측은 시민에게 환원 가능한 에너지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열요금 안정화와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을 발표했지만, 민영화가 진행될 경우 이와 같은 공공 서비스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민간 자본 유입이 이뤄진다면 공공성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공사가 밝힌 흑자전환 목표가 민영화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이 될지, 더 큰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킬지는 경과를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기자수첩] ‘TBS 전철’ 밟는 서울에너지공사
- 제주에너지公, 전기차 신기술 개발 업무협약 체결
- 서울시의회, ‘마곡열병합발전’사업 재검토 촉구
- [포커스] 서울에너지公, ‘민영화 위기’ 극복 전략 행보
- 서울에너지公, 기획경영본부장에 장영민 전 동작구 부구청장 임명
- [이슈] 서울 강서주민, ‘마곡열병합발전소’ 민영화 반발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⓵ ‘낙하산 인사’와 ‘박원순 지우기’
- 집단에너지 가치 재조명·제도적 지원 방안 토론회
- [토론] ‘집단에너지’, 에너지 대전환 시대 해법 될까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⓶‘리더십의 한계’와 의문의 사퇴
- ‘난방비 폭탄’에도 열병합발전사들은 역대 최고 수익 잔치
- [단독] 서울에너지공사 노동조합, 황보연 사장 고발
- [기획] 서울에너지공사 민영화 논란-⓷기로에 선 위기극복 전략
- 서울에너지공사, ‘600억 출자금 부실관리’에 태양광 사업도 졸속 추진
- “이게 흑자경영인가”...서울에너지공사 ‘코드인사’와 조직개편 강행에 내홍 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