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1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첫 번째 ‘기후미래포럼’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의 장기 온실가스 감축경로를 마련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각계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오는 2031년부터 2049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한다.
지난 8월 29일 기후위기 헌법소원 결정에 따른 후속 조치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온실가스 감축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부문별 감축 수단과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헌법재판소는 지난해 탄소중립기본법 제8조 제1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며 2026년 2월 28일까지 국회가 해당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기후미래포럼은 이를 바탕으로 장기 감축경로를 마련하고 에너지·산업·수송·건물 등의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포럼엔 에너지·농업·폐기물·흡수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세대와 산업계·시민사회·노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포럼 위원으로 참여한다. 포럼에는 미래사회·경제·과학기술·법률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논의도 포함된다.
1차 회의에는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유승직 포럼 위원장 등을 포함한 40여 명이 참석한다. 회의에서는 포럼의 운영 계획과 온실가스 감축경로 수립 방향, 분과별 역할과 추진 일정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포럼에서 도출된 입법대안을 내년 국회에 제출하고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논의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안 실장은 “기후미래포럼 논의가 우리나라의 장기 온실가스 감축경로를 마련하는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미래지향적인 탄소 감축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