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환경산업기술원과 산업은행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공동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제공
지난해 6월 환경산업기술원과 산업은행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공동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산업은행은 27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공동 개발, 이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법론 개발은 녹색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금융 및 산업계의 녹색분류체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최근 녹색금융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금융기관과 기업들은 녹색경제활동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론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84개 녹색경제활동으로 구성돼 있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이를 기준으로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84개 녹색경제활동 중 21개를 대상으로 총 40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연계해 ‘경제활동’ 단위로 환경개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특히 환경부의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서 작성지침 및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 등을 참조해 신뢰성을 강화했다. 실무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엑셀 프로그램과 웹페이지 기반 자동 산정 도구도 함께 제공됐다.

이를 통해 금융기관은 녹색채권 발행, 녹색여신 심사 등 녹색금융 지원을 할 때 객관적인 감축량을 평가할 수 있게 됐다. 기업들은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할 때 환경개선 효과를 명확히 산정할 수 있게 됐다.

이번 방법론은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gmi.go.kr)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 참고서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환경산업기술원과 산업은행은 금융시장 내 녹색경제활동 수요를 적극 반영해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직무대행은 “녹색금융이 실질적인 기후변화 대응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체계적인 방법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한국산업은행과 긴밀히 협력하여 녹색경제활동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우리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