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지역의 자연생태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개발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 부처는 오는 24일부터 이틀간 전남 고흥과 여수 일원에서 ‘국토-환경 정책협의회’ 제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지난해 범정부 차원의 전략적 인사교류 이후 실질적 협업을 위한 후속 조치로 환경부 자연보전국장과 국토부 국토정책관 간 인사교류를 기반으로 구성된 부처 간 협의체다. 

환경부에 따르면, 양 부처는 본 회의를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와 지역균형개발을 연계한 2025년도 전략적 협업과제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회의의 주요 의제는 △2024년 해안권 발전사업 대상지 생태관광 진단(컨설팅) 결과 공유 △국토부 개발사업지 현장 방문 △2025년도 협업과제인 ‘지속가능한 지역균형개발 및 생태관광 연계 방안’ 논의 및 확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회의에서 생태관광 진단과 프로그램 개발을, 국토부는 관련 인프라 구축을 각각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단순 개발이 아닌, 자연자원의 보전과 활용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맞춤형 지속가능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지난해 국토부는 여수·고흥·영덕 등 3개 해안권 지역을 대상으로 생태관광 기반시설 구축을 시작했고, 환경부는 이들 지역에 대해 생태관광 컨설팅과 프로그램을 제안한 바 있다.

2025년엔 이런 개발대상을 내륙권과 지역개발사업지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환경부는 지난해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된 영덕군에 대한 사후 진단도 진행할 계획이다.

두 부처는 다음 달 지역균형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해 최종 3곳을 선정, 통합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가 활용은 단순 관광을 넘어 환경과 치유의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국토부와의 협업을 통해 생태와 개발의 조화를 이루는 지역관리 모델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지연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역시 “협업 대상지역을 해안에서 내륙까지 확대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지역의 특색 있는 자원을 발굴하고, 차별화된 지역개발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계획과 자연보전의 접점을 연결하는 범정부 협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국토-환경 정책협의회’는 향후 정책 조율뿐 아니라 현장 적용까지 연계하는 실효적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