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산업단지에 특화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협력의 첫 발걸음이 시작됐다.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은 23일 서울지역본부에서 ‘산업단지 ESG+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ESG 확산 전략 수립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범한 ‘산업단지 ESG+ 협의체’는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ESG 경영 내재화와 특화된 지원사업 발굴을 목적으로 하는 실무 중심의 민관 협의체다.
협의체에는 ESG 선도기업인 ‘엘앤에프’를 비롯해 총 5개 입주기업, 동반성장위원회 등 유관기관 3곳, 서울대학교 김인환 교수 등 ESG 분야 전문가 14명이 참여해 실효성 높은 논의체계를 구축했다.
협의체는 ‘지속가능한 산업단지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슬로건 아래 산업단지별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ESG 의제를 발굴, 이를 사업화·정책화하는 실행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분기별 정기회의 및 전문가 포럼을 통해 실천가능한 사업모델을 구체화하고,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또 협의체는 산단공이 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그린산단 △노후공장 청년친화 리뉴얼 등 구조고도화 사업 △산단 주변 도시숲 조성 사업 등 정부 지원사업과도 연계해, ESG 기반의 산업단지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산업단지 입주기업 ESG 지원사업 현황’과 ‘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ESG’, ‘탄소중립과 ESG 접목 전략’ 등 다양한 주제 발표와 함께 입주기업과 전문가 간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ESG가 단지 내 기업의 생존전략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핵심 가치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상훈 이사장은 “산업단지 ESG+ 협의체는 ESG를 단순한 규제가 아닌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협업모델”이라며 “입주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산단공은 향후 협의체 활동을 기반으로 지역별 ESG 우수사례를 확산하고, 탄소중립 목표와 연계한 산업단지 맞춤형 ESG 프레임워크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