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일본 정부가 침체된 자국 조선산업을 재건하기 위해 국영 조선소 설립과 민간 조선사 합병 등을 골자로 한 대대적인 산업 활성화 전략에 착수했다. 이번 전략은 미국 시장 진출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2030년까지 세계 조선 시장 점유율을 현재의 7%에서 20%까지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세계 선박 발주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중국(71%)과 한국(17%)의 독주 체제 속에서 일본의 생존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구조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 국영 조선소 설립→민간 위탁 운영… 시설 현대화·인력난 해소 병행
이번 일본 정부의 조선산업 재편 전략 핵심은 정부 예산을 활용한 국영 조선소 설립이다. 해당 조선소는 건설은 공공이 맡고 운영은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노후화된 기존 설비 교체와 고도화, 심화된 인력 부족 문제 해소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이와 동시에, 2개 민간 조선사의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고부가가치 선박에 대한 설계·건조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병행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선박 건조 능력을 현재의 두 배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약 1조 엔(약 9조 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미국 시장 겨냥한 전략 전환… ‘경제안보’ 논리와도 맞물려
일본 정부가 조선산업 재건에 나선 또 다른 배경은 미국과의 방산 및 경제안보 협력 심화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미국은 현재 자국 조선 역량 부족으로 인해 동맹국 공급망을 활용한 선박 조달 방안을 검토 중이며, 친미적 공급기지를 일본에 구축하는 전략이 부상하고 있다.
일본 입장에서는 이를 계기로 고부가 선박 및 군수·지원함 중심의 틈새시장 진입을 노릴 수 있고, 국내 산업 부활과 외교적 존재감 강화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이중 전략이 작동하고 있다.
조선 전문가들은 “일본의 전략은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구조 전환과 기술력 복원에 초점을 맞춘 시도로, 미국-일본 간 산업 협력 구도가 현실화될 경우 중국·한국에 대한 반격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