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에서 미국 등의 규제가 다소 완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이 숨을 고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였지만, 여전히 규제 대응에 대한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환경산업기술원(환경기술원)이 유럽연합(EU)의 산림전용방지법 시행을 앞두고 우리 기업의 공급망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한다.
환경기술원은 오는 16일 오후 주요국의 녹색성장 전략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제28회 ESG 온(ON)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국제 정세 변화로 미국과 유럽연합의 환경·무역 정책이 크게 변화한 상황에서 특히, 내년부터 본격 적용되는 EU의 산림전용방지법(EUDR, EU Deforestation Regulation)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이해 제고와 실질 대응 마련을 위한 것이다.
산림 파괴 연계 여부, 기업이 입증해야
EU 산림전용방지법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 생물다양성 훼손 등 산림 파괴 활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소고기·커피·코코아 등 7개 품목이 대상이다.
기업은 이들 제품이 산림전용 및 황폐화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입증해야 하며, 관련 정보의 추적 가능성과 투명한 공급망 관리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해당 법은 올해 말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으로, 우리나라 농림수산·식품·제조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박소영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이 발제자로 나서 미국과 EU의 상반된 녹색성장 정책 노선과 그에 따른 국내 산업계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이어 안현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EU 산림전용방지법의 최근 변경사항과 기업의 대응 필요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ESG 관련 규제들이 단순 권고 수준을 넘어 무역장벽 및 수출 인증 요건으로 연결되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전략 차이와 이에 따른 국내 대응의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책 혼란 속 실질적 대응 전략 필요”
김영기 환경기술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행사에서 주요국 전략을 이해하고, 우리 기업들이 실질적인 대응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규제가 다소 완화된 측면도 있지만, 앞으로는 더 정교하고 구체적인 공급망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가 신청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www.keiti.re.kr)에서 가능하며 접속 주소 등 자세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ESG 온 세미나는 기업과 전문가가 함께 ESG 정책과 시장 변화를 논의하는 정례 세미나 시리즈로, 다음 행사는 8월20일 오후 3시 ‘기후위험(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금융·산업계의 지속가능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열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