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5일 오후 충남 아산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 통합 바이오가스 생산시설(비이에프)을 찾아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들과 직접 소통에 나섰다.
이번 방문은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 등 복합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원순환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의 현장 이행 상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해당 시설은 일일 950톤 처리 규모로, 아산시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420톤/일)와 음식물류 폐기물(530톤/일)을 통합 처리하고 있다. 2015년부터 가동 중인 이 시설은 현재 국내 최대 용량을 자랑하며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도시가스 및 발전용 연료로 지역사회에 공급되고 있다.
◇자원순환·탄소감축·에너지 자립 ‘대표 사례’
환경부는 이번 현장을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표적 복합성과 실현력을 갖춘 정책 사례로 보고 있다.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수질오염과 악취 유발 등 환경문제를 일으키지만, 통합 처리 방식은 이를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해 오히려 지역에 이득이 되는 방식이다.

김 장관은 이날 현장에서 “가축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등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면 재생에너지 생산과 자원순환 및 환경 오염 방지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며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은 이러한 아이디어와 실천으로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통합형 전환 정책 본격화...시설 효율·경제성↑
환경부는 2022년부터 바이오가스 정책의 중점을 기존 ‘단독 처리형’에서 ‘통합 처리형’으로 전환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분뇨 등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을 한 시설에서 함께 처리하는 방식으로 설치·운영비 절감과 에너지 생산 효율 향상 등의 강점이 있다.
특히 통합형 시설은 지역단위 에너지 자립과 화석연료 대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동시에 노릴 수 있어, 향후 지역 기반 에너지전환 전략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현장 관계자들은 운영 과정에서의 법·제도적 어려움, 바이오가스 공급처 확보 등 현실적인 과제들도 함께 제시했다. 김 장관은 이를 적극적으로 청취하며 정책 개선 여지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기후위기, 말 아닌 행동의 시간”...지방정부 30곳 공동선언 채택
- 김성환 장관 “환경부, 규제부처 아닌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기관 돼야”
- 'Zero Routine Flaring by 2030'…가스 소각, 5년내 사라질까
- 수도권매립지公, 폭염 속 ‘이중 안전 케어’ 가동
- 美 셰일가스, 멕시코서 액화 → 아시아… Amigo LNG, 수출 교두보 구축
- 김민석 총리 “여름철 재난·물가·주거...현장 체감 대책 마련하라”
- 환경부-공군, 군부대 순환경제 실현 '맞손'
- 자원순환 규제 대폭 완화...현장 불편 줄이고 재활용 촉진
- 글로벌 바이오가스 잠재력 1조㎥…현 생산량 5%에 그쳐
- IEA "바이오가스, 2035년 세계 LNG 수요 25% 대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