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소재 비이에프의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전경./ 환경부 제공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소재 비이에프의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전경./ 환경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5일 오후 충남 아산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 통합 바이오가스 생산시설(비이에프)을 찾아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들과 직접 소통에 나섰다.

이번 방문은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 등 복합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원순환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의 현장 이행 상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해당 시설은 일일 950톤 처리 규모로, 아산시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420톤/일)와 음식물류 폐기물(530톤/일)을 통합 처리하고 있다. 2015년부터 가동 중인 이 시설은 현재 국내 최대 용량을 자랑하며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도시가스 및 발전용 연료로 지역사회에 공급되고 있다.

◇자원순환·탄소감축·에너지 자립 ‘대표 사례’
환경부는 이번 현장을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표적 복합성과 실현력을 갖춘 정책 사례로 보고 있다.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수질오염과 악취 유발 등 환경문제를 일으키지만, 통합 처리 방식은 이를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해 오히려 지역에 이득이 되는 방식이다.

비이에프 전경./ 비이에프 제공
비이에프 전경./ 비이에프 제공

김 장관은 이날 현장에서 “가축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등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면 재생에너지 생산과 자원순환 및 환경 오염 방지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며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은 이러한 아이디어와 실천으로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통합형 전환 정책 본격화...시설 효율·경제성↑
환경부는 2022년부터 바이오가스 정책의 중점을 기존 ‘단독 처리형’에서 ‘통합 처리형’으로 전환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분뇨 등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을 한 시설에서 함께 처리하는 방식으로 설치·운영비 절감과 에너지 생산 효율 향상 등의 강점이 있다.

특히 통합형 시설은 지역단위 에너지 자립과 화석연료 대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동시에 노릴 수 있어, 향후 지역 기반 에너지전환 전략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현장 관계자들은 운영 과정에서의 법·제도적 어려움, 바이오가스 공급처 확보 등 현실적인 과제들도 함께 제시했다. 김 장관은 이를 적극적으로 청취하며 정책 개선 여지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