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Vision 2035 기후위기 대전환 포럼'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센터 제공
2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Vision 2035 기후위기 대전환 포럼'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센터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와 생존위협이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내 지방정부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실행 중심의 대전환’을 선언하고 나섰다.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는 2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Vision 2035! 기후위기 대전환 포럼’을 열고, 전국 30개 기초지자체가 참여한 ‘대한민국 지방정부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이번 포럼은 파리기후협정 10주년을 맞아 기후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이 임박했다는 인식 속에 지방정부가 실질적 실행 주체로서 중심에 서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마련됐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협의회장)은 개회사에서 “기후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인 지금이야말로 지방정부의 행동력이 가장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역설하며 선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재철 기후변화센터 이사장도 “지방정부 간의 연대와 혁신적 기후 이니셔티브는 글로벌 수준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며 국제적 맥락에서의 포럼 의의를 짚었다.

이날 발표된 ‘기후위기 대전환, 대한민국 지방정부 공동선언’은 향후 10년을 ‘말이 아닌 행동의 시간’으로 규정하고 △기후정책의 골든타임에 즉각적 행동 △지역 맞춤형 전환 전략 수립 △정의로운 전환 기반 마련 △기후복지 실현 △기후분권·국제연대 강화 등 5대 실천항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책임과 역할을 구체화했다.

지방 현장의 실천력도 주목받았다. 광명시는 생활폐기물 처리구조 개편 및 폐가전 무상 수거, 커피박 자원화 등으로 자원순환 기반을 구축했다. 시흥시는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바이오가스로 연간 19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 에너지 자립 기반을 다졌다.

파주시는 RE100 전담조직과 조례를 마련하고 공공 태양광 기반 PPA로 중소기업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하는 제도혁신 사례를 선보였다.

오후 세미나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 지방세제 개편, 이원적 기후기금 구조 등 기후재정 분권 확대와 에너지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한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김정인 중앙대 명예교수는 “지역이 중심이 되는 탄소경제 전환이 절실하다”며 지방정부가 단순한 참여자가 아닌 실행 주체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 최지원 사무국장은 “본 포럼에서 제시된 비전과 전략이 지역 주도의 기후 리더십을 실현하는 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회원도시들과의 긴밀한 결속과 실질적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방정부들의 기후위기 대응이 선언을 넘어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