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환경공단(공단)은 26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서울시와 함께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공공부문 냉방·냉동설비에서 사용하는 냉매의 충전부터 회수·처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수소불화탄소(HFCs) 계열 등 고온난화지수(GWP)를 가진 냉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 이산화탄소보다 수백~1만2000배에 달하는 온실가스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전 주기적 관리가 필수다.
현재는 20RT 이상 설비만 법정 관리대상이지만,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3~20RT 규모의 비법정 기기까지 관리 대상을 자율 확대한다.
여기에 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냉매정보관리시스템(RIMS: Refriger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냉매 이력을 전산으로 추적·관리할 방침이다.
RIMS는 공단이 구축한 냉매 전산관리 시스템으로, 이번 협약에 따라 비법정 냉매기기까지 관리 기능을 개선했다.
서울시는 관련 설비를 RIMS에 먼저 등록한 후, 냉매 충전·회수 등의 이력이 발생하면 QR코드를 활용해 모바일로 현장 입력이 가능하다. 앞서 환경공단은 지난 7월25일 충청남도와도 유사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서울시와의 협약은 전국 지자체로 확대되는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윤용희 환경공단 기후대기이사는 “공단은 서울시와의 협업을 통해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를 실효성 있게 정착시키고, 향후 다른 지자체들과도 협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