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정부가 기후테크 산업을 탄소중립 대응을 넘어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14개 기후테크 스타트업 및 VC와 간담회를 열고, ▲전주기 투자 ▲국내외 시장 진출 지원 ▲법·제도 기반 구축 등 3대 육성 축을 중심으로 정책 수립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후테크’는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전반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전력·열·수소·탄소포집·자원순환 등 에너지 기술뿐 아니라 AI 기반 탄소 모니터링, 지속가능 소재 개발, 친환경 물류 솔루션 등 산업 전반에 파급력 있는 기술군으로 부각되고 있다.
간담회에선 스타트업들이 투자 확대, 규제 개선, 시장 진입 장벽 해소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기후테크는 기존 산업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아 정부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털 관계자들은 기후테크 산업의 특성상 초기 자본 투입 부담이 크고, 규제 장벽도 높다며 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현장에서 나온 주요 건의사항은 ▲기후테크 분야에 특화된 투자 확대 ▲시장 진입을 위한 제도 설계 개선 ▲실증 지원 확대 및 민간 연계 강화 등이었다.
특히 “기존 산업 분류체계와 정책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기후테크의 경우, 정부 지원사업에 접근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는 토로도 이어졌다.
조익노 산업부 에너지정책국장은 “기후테크 스타트업이 에너지 전환과 경제도약의 핵심 주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 지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안에 기후테크 종합 육성대책을 발표하고, 향후 실증 인프라 확대, 글로벌 연계, ESG 공시 대응 전략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