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HD현대의 조선 계열사 HD현대미포가 자체 개발한 新선형 설계를 앞세워 글로벌 피더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회사는 9월29일, 오세아니아 지역 선사와 총 2224억 원 규모의 컨테이너선 3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 선박은 2800TEU급 컨테이너선 2척과 1800TEU급 1척으로, 울산 조선소에서 건조돼 2027년 10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 피더선 시장, 노후 교체와 단거리 물동량 증가로 확대
이번에 계약된 선박들은 대형 컨테이너선이 접근하기 어려운 중소 항만과 허브항을 연결하는 ‘피더 컨테이너선’이다. 해당 선종은 별도의 대형 터미널 확충이 필요 없고, 높은 회전율과 짧은 항로, 낮은 연료비를 통해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영국 조선·해운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피더선 시장은 약 27억 4천만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특히 전체 피더선의 약 30%가 선령 20년을 넘기면서 교체 수요가 본격화되고 있어, 시장은 연평균 8.7% 성장해 2035년에는 약 63억 4천만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 新선형 설계 적용…연료 20% 절감·탄소배출 저감
HD현대미포는 이번 수주에 자체 개발한 신선형 설계를 적용해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 설계는 선체 저항을 최소화해 추진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기존 대비 최대 2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동시에 CO₂ 배출량을 줄여 국제 규제 대응에도 유리하다.
회사는 올해에만 21척의 피더선을 수주, 지난해(6척)의 3배 이상 성과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해운업계가 친환경·고효율 선박을 선호하는 흐름과 맞물려 HD현대미포의 기술력이 시장에서 빠르게 인정받고 있음을 방증한다.
■ "친환경 기술·납기 신뢰로 신규 시장 개척"
HD현대미포 관계자는 “최근 선사들은 친환경 기술력과 납기 신뢰도를 최우선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에 발주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친환경 설계 역량을 강화해 쇄빙선 등 신규 선종 시장 개척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 용어 설명 :
ㆍ피더 및 중형급 컨테이너선 = 글로벌 해상물류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선박으로, 항로와 운송 규모에 따라 세분화된다. 피더선은 일반적으로 500~2,000 TEU(20피트 컨테이너 단위) 적재 능력을 가진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지역 소규모 항구와 허브 항구를 오가며 화물을 집하·분배하는 임무를 맡는다.
반면 중형급 컨테이너선은 최대 대형 선박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파나막스급(3000~5000 TEU) 또는 피더맥스급(2,001~3,000 TEU) 등으로 분류되며, 중거리 국제 항로에서 효율적으로 적재·운송 기능을 발휘한다. 이들 선박은 항만 접근성과 운항 경제성이 높아 국내외 다양한 항구들을 연결하는 해상 운송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0~5000TEU급 규모가 많으며, 글로벌 해운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물동량 연계성을 높이는 핵심 수단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