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제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의 출범은 우리나라의 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35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과 기후위기 적응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기후 변화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을 반영한 조치이다.

이번 위원회에는 한화진 전 환경부 장관이 공동 위원장으로 위촉됐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58명의 위원들이 참여하게 된다. 특히 무탄소 에너지, 수소, 인공지능 등 미래 신기술 관련 전문가의 영입은 전문성과 대표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상목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정부가 탄녹위와 함께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비상한 각오로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의 무탄소 에너지를 확대하여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동시에 탄소 경쟁력을 높이려는 의지가 돋보인다. 이는 단순히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한다.

또한 정부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국제적 책임과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도전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파리협정의 진전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현재의 2030 NDC를 기반으로 한 감축 시나리오는 이해관계자들과의 의견 수렴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기후 정책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정부의 기후 위기 적응 대책 또한 주목할 만하다.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을 통해 폭염, 홍수 등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기후보험 상품 개발 등의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될 예정이다. 국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한 기후 적응 선도국가 실현은 모든 정책의 근본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

제2기 탄녹위의 출범은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분명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목소리를 반영하며,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 수립이 이루어진다면, 우리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탄녹위가 제시하는 중장기 비전과 실천 방안이 실제로 이행되기를 기대하며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정부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해야 할 과제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키워드
#탄녹위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