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1일 서울 마포구 코엑스마곡에서 ‘2025년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 전국 지자체의 탄소중립 이행력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이번 행사는 올 4월 전국 226개 모든 기초지자체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한 것을 계기로 마련됐다. 지난해 17개 광역지자체가 기본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올해는 기초단위까지 확대됨으로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취지다.
이날 행사에선 환경부와 유역환경청,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국 지자체가 참여한 가운데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된다. 협약기관들은 지자체 기본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중앙-지방 공동의 탄소중립 이행체계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함께 모았다.
특히 환경부는 지역별 유역환경청 중심으로 권역별 탄소중립 이행 협의체를 운영하며 지자체 현장에서의 기후 대응 역량을 실질적으로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발표 세션에서는 △공공·민간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며 탄소중립 그린도시를 지향하는 대구 달서구 △기후테크와 역사문화, 시민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 도시를 구현 중인 전북 전주시 △햇빛과 초록의 도시를 목표로 도시녹화 및 태양광 확산에 나선 서울 노원구 등 다양한 지역 맞춤형 전략 등 지역별 탄소중립 전략 우수사례가 공유된다.
환경부는 지자체 이행력 제고를 위해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지역별로 확대 지정·운영,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기반 마련 방안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전의찬 세종대 교수(기후에너지융합과)와 염정섭 환경부 기후전략과장, 홍종성 2050위원회 공정전환과장, 최형욱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팀장, 김형석 환경공단 처장, 문현석 서울시 탄소중립지원센터장,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관별 역할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심도깊은 논의가 이어진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2025년은 전국 모든 기초지자체가 기본계획을 수립한 뜻깊은 해”라며 “각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이행전략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의 핵심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사설] 해운업계 탄소세 과제
- 한전KDN, 지필로스와 그린수소 기술협력과 신사업 개발 협력 약속
- 인천, 수도권 최초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착공…2027년 완공 목표
- "음식물→바이오가스→수소" 제주형 탄소중립 순환모델 시동
- “담수 말고 바다로”…그린수소 산업, 해수전기분해로 전환점 맞나
- ‘궁극의 청정수소’를 향한 경쟁…탄소 제로 수소, 어디까지 왔나
- 한수원, 국가산업대상 환경경영 대상 2년 연속 수상
- 환경부, 2025년 기후변화주간 운영
- 기후위기 대응 시민단체들 도시녹지 확대 앞장
- 환경公, ‘K-eco 동반성장페스타’ 성료
- [인사] 한국환경공단
- 환경公, 중소기업과 손잡고 환경기술 혁신
- “악취 문제, 국민이 체감해야 의미 있다”
- [기획 특집] 기후위기 맞서는 혁신 기후테크
- 정부, 온실가스 감축 발표...산업부문 증가에 2030 NDC 달성 ‘경고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