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후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한국녹색철강네트워크’는 오는 6월3일 조기대선을 앞둔 2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롭게 출범할 정부에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4대 정책과제를 공식 제안했다.
이들은 철강이 전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17%, 제조업 부문 배출의 40%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임에도 탈탄소 전환을 위한 정부의 정책 및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2035년까지 철강 부문 온실가스를 30% 감축하는 목표 설정을 촉구했다. 이는 현 정부의 2030년 감축 목표인 5%보다 훨씬 진전된 수치다.
이들은 또 배출권 유상할당 도입과 함께 저탄소 설비 전환을 위한 재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행 배출권거래제는 철강 등 다배출 업종에 대해 무상할당을 유지하고 있으나, EU는 2034년까지 이 무상할당을 전면 폐지할 예정으로 국제 경쟁력을 고려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수소환원제철 및 전기로 전환 등 저탄소 설비 구축에 드는 막대한 비용의 최소 30%를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산업용 그린수소 수급을 보장할 수 있도록 기존 수소정책과 법령의 개선도 요구했다.
아울러 저탄소 철강의 정의와 기준을 명확히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공공조달 확대를 통해 녹색철강 시장을 선도적으로 창출할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현재의 저탄소 제품 인증 제도로는 실제 저탄소 철강 생산을 유도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번 기자회견엔 광양환경운동연합, 포항환경운동연합, 충남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기후넥서스, 기후솔루션, 빅웨이브 등 전국의 기후환경단체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각 정당과 대선후보들에게 공식 질의서를 전달하고 정책 수용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철강 산업은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국제 규제에 직면한 가운데, 탈탄소 전환의 시급성이 산업계는 물론 시민사회에서도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 시민사회는 철강의 녹색 전환이야말로 탄소중립 실현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