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브라질 정부가 재정 적자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석유업계를 대상으로 약 350억 헤알(62억 달러)에 달하는 재정 확보 방안을 추진한다. 알렉산드르 실베이라(Alexandre Silveira) 광업·에너지부 장관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대통령에게 관련 계획을 보고했으며, 이에는 △미개발 석유탐사권 매각 △원유 과세 기준가격 조정안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무디스(Moody’s)가 브라질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한 상황에서, 페르난두 하다지(Fernando Haddad) 재무장관이 재정 목표 달성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 세금 기준가격 재조정… 석유기업 수익성 직격 우려
가장 논란이 되는 항목은 석유 생산세를 산정하는 기준가격(reference price)의 조정이다. 현재 가격은 유전에서 실제 판매되는 거래가보다 유리하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아, 이 부분을 조정할 경우 국영 페트로브라스(Petrobras)를 포함한 석유기업들의 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에너지 컨설턴트 마르셀루 데 아시스(Marcelo de Assis)는 “이 조치는 중장기적으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기존의 면허 지연 및 탐사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다”며 “산업 생태계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오는 7월 말까지 석유감독청(ANP)을 통해 기준가격 개정안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 프리살트 유전 인접지 면허 매각으로 최대 150억 헤알 확보 전망
한편 브라질 정부는 미개발 상태로 남아있는 브라질 최대 해상 유전지대 프리살트(Pre-Salt) 지역 내 일부 구역의 생산권을 민간에 매각하는 법안도 함께 추진 중이다. 해당 구역은 세계 최대 해저유전 중 하나로 꼽히는 △투피(Tupi) △메루(Mero) △아타푸(Atapu) 인접 해역으로, 매각이 성사될 경우 올해 안으로만 150억 헤알(약 26억 달러)의 수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매각 방안은 금융거래세율 인상이라는 다른 논란의 여지를 지닌 재정 대책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부 내에서 검토되고 있다.
브라질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재정건전성 확보라는 정책 목표 아래 단기적 수익 창출을 시도하는 한편, 에너지산업 내 기업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예측가능성과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반발과 함께 국회 내 논의 과정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