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경연대 제공
여성환경연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의 당사자인 여성과 청년이 기후정책 의사결정의 주체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회에서 첫 공식 논의로 이어진다.

여성환경연대, 녹색전환연구소, 기후청년모임 빅웨이브 등은 오는 15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2035 NDC와 기후거버넌스: 여성과 청년이 제안하는 미래의 방향’ 토론회를 공동 주관한다.

이번 토론회는 조국혁신당 서왕진 의원, 더불어민주당 박정현·이소영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이 공동주최한다. 기후정책 당사자인 여성과 청년을 주체로 세워 정부가 준비 중인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설정에 이들의 제안을 반영해야 한다는 취지다.

한국은 오는 9월까지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2035년 NDC를 제출할 예정으로. 기존보다 더 높은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논의는 정부 주도로만 진행 중이고, 정작 기후위기에 가장 크게 노출된 당사자 집단의 참여는 미미한 실정이다.

주최 측은 “기후대응에서 당사자 없는 계획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며 “여성과 청년을 포함한 기후 취약계층이 거버넌스에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정책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첫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토론회는 두 명의 발제자와 7명의 지정토론자로 구성되며 정부 실무자와 국책연구기관, 여성·청년단체 대표들이 함께 참여한다.

먼저 김주온 녹색전환연구소 기후시민팀 연구원이 ‘청년 주도 기후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청년의 기후정책 참여 필요성과 방안을 제안한다.

이어 황은정 여성환경연대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은 ‘기후거버넌스 내 젠더 및 다양성: 참여의 현재와 과제’를 통해 성평등 관점에서 기후 거버넌스의 사각지대를 짚는다.

이후 토론에선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가 좌장을 맡고 염정섭 환경부 기후전략과 과장과 김민 빅웨이브 대표, 임선희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등이 거버넌스 개편을 놓고 실질적인 쟁점을 다룰 예정이다.

특히 환경부 실무자와 시민사회, 청년단체, 국책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현재의 2035 NDC 추진 방향과 공론화 과정에 대해 집중 토론한다는 점에서 형식적인 공청회를 넘어선 실효성 있는 논의가 기대된다.

토론회는 서왕진TV와 녹색전환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