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화오션과 현대건설이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 공급망 국산화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양사는 8월19일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해상풍력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신안우이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EPC(설계·조달·시공) 파트너십을 본격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한화오션이 자사에서 직접 건조한 해상풍력발전기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을 투입해 주요 기자재와 설비 공급망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2028년 상반기 현장 투입을 목표로 한 WTIV는 15MW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설치가 가능하며,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서 운용되는 WTIV 중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하부구조물, 해저케이블, 해상변전소 등 주요 설비 역시 국내 제작·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12월 ㈜한화 건설부문으로부터 풍력사업을 양수하며 신안우이를 포함한 2GW 규모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확보, 개발·시공 역량을 겸비한 사업자로 도약했다. 현대건설은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 단지인 서남해 실증단지와 제주한림 해상풍력사업을 준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공출자자 및 공동도급사로 참여한다.
현재 국내 해상풍력 현장에서는 중국에서 운용되는 WTIV가 한국 국적을 달고 투입되거나,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설치선이 국내에 도입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의 독자적 경쟁력을 위협한다고 우려해왔다.
이번 협력은 민간 차원에서 이를 극복하고, 초기 시장 단계부터 자립적 공급망을 강화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의 안보를 위해서는 초기부터 공급망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현대건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적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공급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북도, 울진-포항 간 해저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추진
-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민관협의회 개최
- 정부 "탄소중립 산업 경쟁력 강화"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 2025년 2분기, 조선업 실적 본격 반등…LNG선 중심 수익 회복
- '추자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 사업자 공모 및 현장설명 개최
- 부산 다대포 해상풍력, 국내 첫 ‘공공주도형 모델’로 주목
- 한화오션, 美 필라델피아 조선소 7천만 달러 투자
- 한화, 美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7조 투자
- 한화오션 노사, 임금교섭 조기 타결… 글로벌 경쟁력 강화 신호탄
-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서 브라질 국적 감독관 추락 사망…"재발 방지 최선"
- 서부발전,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행보 가속
- 현대건설, 국내 최초로 미국 대형원전 건설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