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세종시 세종보, 충남 공주시 공주보, 충남 부여군 백제보를 차례로 찾아 4대강 재자연화 검토를 위해 현장을 살펴보고, 금강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환경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세종시 세종보, 충남 공주시 공주보, 충남 부여군 백제보를 차례로 찾아 4대강 재자연화 검토를 위해 현장을 살펴보고, 금강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환경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환경부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11일 500일째를 맞은 금강 세종보 천막 농성장을 전격 방문해 ‘세종보 재가동 중단’과 ‘4대강 재자연화’ 추진 의지를 밝힌 가운데, 환경단체는 농성 종료 여부에 대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입장을 유보했다.

이에 따라 당초 환경부가 “환경단체가 농성을 종료했다”고 발표한 내용은 정정되었으며, 농성은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장관, 직접 “세종보 수문 닫지 않을 것” 약속
김 장관은 이날 세종보 상류 한두리대교 교각 인근 농성장을 찾아 “세종보 수문은 닫지 않을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 취소’ 결정은 성급했고, 이재명 정부는 조속히 4대강 재자연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금강뿐 아니라 낙동강, 영산강, 한강에서도 재자연화가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현재 지역주민, 환경단체,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 공동 논의기구’를 구성 중이며, 이를 통해 보 철거를 포함한 4대강 재자연화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농성 종식 시기상조...추가 논의 요구”
환경운동연합, 보철거시민행동 등은 장관의 현장 발언 이후에도 “4대강 재자연화의 실질적인 세부 계획과 절차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공식화하며 농성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종보 수문 재가동 영구 중단의 제도적 확약 ▲윤석열 정부 시기 국가물관리위 의결 철회 ▲재자연화 계획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 마련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이날 오후 정정 보도자료를 통해 “김 장관이 재자연화 추진을 약속한 것은 사실이나, 환경단체는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농성을 유지하기로 했다”면서 “민관 논의기구를 통해 관련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의 이번 행보는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공식 재개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밝힌 첫 현장 메시지였지만, 정책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력과 환경단체와의 지속적인 소통 여부가 향후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세종보는 2012년 완공 이후 2018년부터 현재까지 완전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윤석열 정부는 2022년 금강·영산강 보 철거 계획을 백지화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