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22일 취임과 함께 환경부 공무원들의 전기차 이용률이 국민 평균에 그치고 있다며 선도적 역할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환경부와 기상청 공무원 중 전기차를 타는 비율이 국민 평균 정도에 불과하다"며 "환경부가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라면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30년까지 전기차 450만대 보급이라는 정부 목표는 자동차 30%를 전기차로 바꾸자는 것으로, 현재 비율은 3% 정도"라며 "기후를 총괄하는 부서로서 환경부 공무원들이 누구보다 먼저 전기차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 의지
김 장관은 취임사에서 "탈탄소 녹색문명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데 환경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규제부처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미래세대가 지속 가능한 삶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탈탄소 녹색문명을 선도하는 부처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제출 시한이 임박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해서는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수준으로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장관은 "목표는 대한민국의 위상과 국내 산업 탈탄소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게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이어야 한다"며 "새 정부의 탄소중립 의지를 반영해 민주적 절차로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 조속 확정 요청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서는 "정부조직법 개정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정부 방침은 가급적 이른 시일에 확정해달라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에너지정책실 편입에 신중론을 펼친 것에 대해서는 "산업부가 현재대로 있는 안은 국정기획위원회 논의 안에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환경부에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을 붙여 기후환경에너지부로 바꾸는 안과 환경부 기후정책실과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을 합쳐 기후에너지부를 별도 신설하는 2가지 안으로 국정기획위에서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4대강·플라스틱 정책 방향
4대강 문제에 대해서는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물 흐름 연속성을 살려 자연성을 회복하겠다"고 약속했으나 16개 보 처리 방안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플라스틱 관리와 관련해서는 "원천 감량과 순환이용에 기반한 탈 플라스틱 로드맵을 연내 마련해 플라스틱 전 주기 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순환경제 구조로의 전환 의지를 드러냈다.
김 장관은 "전기차·배터리·히트펌프·재생에너지 등 탈탄소 산업 육성이 일자리 창출과 국내기업 수출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며 탈탄소 전환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 김성환 장관 “환경부, 규제부처 아닌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기관 돼야”
- “2035 NDC 결정, 청년·여성 참여해야”...기후위기 당사자들, 실질적 권한 보장 촉구
- 김성환 환경부장관 후보자 “전기·수소차 인센티브 확대”...‘기후대응댐’ 신설은 “재검토” 방침
- [기자수첩]수송부문 온실가스, 정책 전환 시급
- 전기차 보급 지연으로 탄소감축 목표 달성 위기
- 수송부문 2030 NDC 달성 '빨간불'...배출량 8520만톤으로 전망
- 김성환 “기후에너지부, 산업부 원형 유지 안 돼”...與 당권주자들 “호남 유치” 한목소리
- “강은 흘러야 한다”...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농성현장 첫 방문
- 배출가스 검사 생략 등 민간 자동차검사소 17곳 적발
- 환경부 장관, 현대차 전주공장 방문...“전기상용차 보급 확대 총력”
- ‘공공재생에너지 확대법’ 청원 마감 3일 전...정의로운 전환 이뤄질까
- 더사이 배터리, 선제적 안전 기술 공개
- 각국 NDC 이행 전략 한자리에...온실가스 학술회 8월1일 개최
- 李 대통령 “에너지 전환은 필수...전국에 지능형 전력망 촘촘히 깔아야”
- 김성환 장관 “기후에너지부 신설, 8.15 이전 결론날 것”
- [초점] 기후에너지부→ ‘기후환경에너지부’로?...에너지 대전환 컨트롤타워 설계 바뀌나
- [초점] ‘기후환경에너지부’ 유력...에너지 공기업도 환경부로 이관되나
- [분석] 한전 등 에너지 공기업, 환경부 품으로?...정책 지향·운영 방식 대전환 예고
- 與 이언주 “산업·에너지 분리 신중해야”...김정관 지원?
- [속보] 환경장관, 세종보 농성장 방문...환경단체 “농성 지속” 입장 정정

